삼성 갤럭시S가 일본에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1위를 차지하였다고 해서 산케이신문이 크게 다루었다.

시장 조사회사 BCN이 발표한 내용을 보면 삼성 갤럭시S는 도코모가 판매하는 스마트폰 중에서 35.8%를 차지하여 1위에 올라섰으며, 패밀리인 갤럭시탭도 7.3%를 차지하였다. 한편, 경쟁 업체인 샤프 제품은 30.7%, 도시바 제품은 20.5%를 차지하는데 그쳤다.

또 전체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소프트뱅크가 판매하는 아이폰이 21.1%를 기록한 가운데 갤럭시S는 19.7%를 기록하여 근소한 차이로 아이폰을 추격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갤럭시S가 주목은 받겠지만 이렇게 오랫동안 인기를 끌면서 성공적으로 팔릴 줄은 예상하지 못했다. (관련글 :  실망스런 갤럭시S, 기대되는 갤럭시탭)


요도바시카메라 아키하바라점의 NTT도코모 매장

갤럭시S가 일본에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원인을 추측해 본다.

-  소프트뱅크의 낮은 음성 품질이 싫어 일본 최고의 안정적인 통화 품질을 제공하는 NTT도코모 스마트폰을 기다리던 유저들이 구매하였다.
- 경쟁 상대인 샤프나 다른 일본 업체의 스마트폰은 일본 유저들이 좋아하는 전자지갑, 모바일 디지털 지상파 방송 기능이 담겨 있었으나 갤럭시S에 탑재된 안드로이드 2.2보다 한 단계 낮은 안드로이드 2.1을 채용하였고, 터치감이 떨어졌다.
- 갤럭시S는 슈퍼아몰레드를 내세워 깨끗한 화면을 강조하였는데, 단순 명쾌한 차별화가 먹혔다.
- 갤럭시S의 광고에는 삼성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NTT도코모 브랜드만 보여줌으로써 일반 유저들이 거부감 없이 쉽게 구매하였다.
- 초기 물량이 예상 외로 적어서 제품을 쉽게 구할 수 없었던 점이 일본 유저의 갤럭시S에 대한 소유욕에 불을 지폈다.
- 경쟁 제품보다 저렴한 가격과 함께 뛰어난 성능의 글로벌 스마트폰으로 개인은 물론이고 기업체의 대량 구매가 늘었다?!

이번 성과가 성공이라고 하기에는 좀 이른 감이 있지만, 삼성으로서는 이번 성과에 자만하지 말고, 삼성 제품에 대해서 과거의 나쁜 이미지를 갖고 있는 일본 소비자는 물론이고 삼성을 전혀 모르는 일본 소비자에게 오랫동안 사랑받는 삼성이 되기 위해서 남에 것을 모방하지 않는 업계 리더 기업으로서 창조적이며 높은 품질을 갖춘 제품으로 일본 소비자의 맘을 사로잡아야 하지 않을까 싶다.

예상 못 한 삼성 갤럭시S의 성공은 앞으로 일본에서 불 IT 한류 붐에 대한 기대를 높게 하고 있다.


Posted by 오픈검색
,

2011년의 본격적인 업무가 시작되는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되었다.


01월 10일 (월요일) 성인의날


01월 11일 (화요일)

GREE, 미국 진출--첫 자회사 "GREE International"설립, 현지 채용도
GREE(http://www.gree.co.jp/)는 자본금 100만 달러를 투자하여 미국에 해외 첫 자회사인 GREE International를 2월경에 설립한다고 발표하였다. 설립 초기에는 10여 명의 직원으로 시작하며 이후 현지 직원도 채용할 방침이다. 경쟁사 DeNA가 해외 유명 개발사 인수를 통해 빠르게 해외 진출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GREE의 앞으로의 움직임이 주목된다.

여장 남성, 성의 차이를 넘어 미를 추구
여자와 같이 예쁜 옷을 입는 여장 남성(男の娘:오토코노코)문화가 도쿄 아키하바라를 중심으로 서브 컬처붐을 일으키고있다. 원래는 만화나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여장 소년을 가리키는 단어였지만, 최근에는 코스프레처럼 여장 차림을 한 남성을 칭하는 말로 바뀌었다. TV에서도 최근 여장 남자가 인기를 끌면서 이런 현상이 더욱 가열될 것 같다.

CASIO, 사진을 아트풍으로 편집할 수 있는 무료 온라인 서비스
CASIO(http://casio.jp/)는 자사 디지털카메라에 탑재된 HDR(High Dynamic Range)기술을 이용하여 촬영된 사진을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담은 온라인 서비스 IMAGING SQUARE(http://art.casio.com/)를 오픈하였다. 사진은 마이아트리에에 1GB까지 보관할 수 있고 갤러리를 통해 공개할 수도 있으며 인쇄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01월 12일 (수요일)

NTT도코모, DNP의 전자책 스토어 "2Dfacto" 오픈
NTT도코모대일본인쇄(DNP)는 공동으로 갤럭시S 등을 대상으로 한 전자책 스토어 2Dfacto를 오픈하였다. 초기에는 문예서, 만화 등을 중심으로 2만권의 책을 서비스하며, 봄까지 10만권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DNP는 자회사가 운영하는 서점 등과 연계하여 온오프서점을 연계한 하이브리드형 책방을 만들어갈 계획이다. 일본에서 인기인 갤럭시탭의 선전을 기대해본다.

IDC Japan, 국내 데이터센터의 서버 대수 발표
2010년 말 현재 일본 국내에 있는 서버 대수는 275만 7,867만대로, 그중에서 전문 데이터센터에 설치된 서버는 34%에 해당하는 93만 6,500대, 기업 내 데이터센터는 40.6%에 해당하는 111만 8,913대가 설치되어 있다고 IDC Japan(http://www.idcjapan.co.jp)이 발표하였다.

popIn, 페이지 내부의 이미지를 연속 관람할 수 있는 "popIn Image"를 공개--광고도 표시
popIn(http://www.popin.cc/)는 웹페이지의 이미지를 연속하여 관람할 수 있으며, 배너나 텍스트 광고도 표시할 수 있는 popIn Image를 공개하였다. popIn Image는 동일 페이지에 있는 여러 장의 이미지가 있을 때 이미지를 클릭하면 전후의 이미지로 옮겨가도록 하여 웹사이트 이미지 관람을 편하게 할 수 있는 툴이다.


01월 13일 (목요일)

TV용 VOD 최대 플랫폼은 게임기--SeedPlanning조사
TV용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IPTV)의 동향 조사 결과를 보면, VOD(비디오 온디맨드)서비스 이용자는 2009년 219만 3,000명에서 2011년에는 53.2% 증가한 336만 명을 기록하였다. 또 가정용 게임기를 이용한 VOD 이용자는 2009년 186만 명에서 2010년에는 41.4% 증가한 263만 명으로 추정된다고 SeedPlanning(http://www.seedplanning.co.jp/)은 밝혔다. 가정용 게임기는 1,950만대가 보급되어 VOD 최대의 플랫폼으로 성장하고 있다.

리코와 아사히신문, 복합기를 통해서 뉴스를 송신하는 "New Plaza" 오픈
리코(http://www.ricoh.co.jp/)와 아사히신문(http://www.asahi.com/)은 리코 복합기를 이용하여 유저에게 신문사와 통신사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New Plaza를 1월 14일부터 시작한다. 콘텐츠는 아사히신문 서비스 서버에서 리코가 개발한 PC용 위젯 "News Plaza for App2Me"를 통해 송신되며, 유저는 컴퓨터로 보거나 복합기로 인쇄하는 구조이다.

져스트시스템, 법인 대상 Office 호환 소프트 시장 진입, Office의 반액 정도에
져스트시스템(http://www.justsystems.com)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와 호환할 수 있는 오피스 통합 시스템의 법인용 라이센스 제품을 올해 여름에 발표한다고 밝혔다. 가격은 오피스의 반액 정도로 민간용, 관공서용, 경찰용으로 나누어 판매할 예정이다. 한국의 한컴과 비슷한 처지의 져스트시스템의 분발을 기대해본다.


01월 14일 (금요일)

3명 중 1명은 스마트폰 소유, 60%는 1년 이내에 구입--가카쿠닷컴 조사
가카쿠닷컴(http://kakaku.com/)은 자사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폰 이용 동향에 대한 조서 결과를 발표하였다. 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만 소유한 사람은 16.3%, 스마트폰과 일반 휴대폰을 모두 소유한 사람은 13%였다. 스마트폰 구매 시기는 1년 이내에 구매한 사람은 60.4%를 기록하였으며, 이동통신사별 스마트폰 소유율은 아이폰을 판매하는 소프트뱅크는 4% 줄었지만, NTT도코모는 9%로 증가하였다. 스마트폰 구매 결정 요인으로 기능과 앱이 30%로 가장 높았고 디자인과 가격이 조금 증가하였다.

Amazon, 아이치현과 미야기현에 새로운 물류 센터, 중부와 동북 지방에 처음
일본에서 라쿠텐과 야후 옥션 등과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는 아마존(http://www.amazon.co.jp/)이 새롭게 아이치현과 미야기현에 새로운 물류 센터를 올해 중으로 설치, 일본 중부와 동북 지방 유저의 주문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새로운 물류 센터가 완공되면 아마존의 일본 내 물류 센터는 7개가 된다.

NTT Com의 국제 IP 백본, 미일간을 400Gbps로 증속
NTT커뮤니케이션즈(http://www.ntt.com/)는 글로벌 IP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국제IP백본 중에서 미일간 회선 용량을 400Gbps로 증속한다고 발표하였다. 미일간 서비스 용량은 1997년 45Mbps로 시작, 2000년 1Gbps, 2007년 100Gbps, 2010년 1월에는 300Gbps까지 늘어났다. 회선 용량 증가는 클라우드컴퓨팅, 모바일 인터넷 증가 등에 따른 서비스 안정화를 위한 노력으로 보인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