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업원 300명에 연간매출 30억 엔 규모의 일본의 중소기업 시마노제작소(http://www.shimano-inc.com/)가 시가총액 세계 최대 기업이며 종업원 8만 명에 연간매출 19조 엔 규모의 애플을 상대로 100억 엔의 소송을 걸었다.

시마노제작소는 전원 어댑터의 커넥터에 사용되는 핀을 제조하여 인텔과 삼성등에 납품하는 강소기업으로 이번에 애플을 독점금지법 위반과 특허권 침해로 도쿄재판소에 제소하였다.

시마노제작소가 애플에 납품한 포고핀
(출처:http://www.itmedia.co.jp/news/articles/1412/08/news045.html)

시마노제작소는 9년간 애플에 제품을 납품하여 왔고, 양사는 유사제품을 개발하지 않는다는 것과 시마노제작소와 거래하는 하청업체와 거래할 시에는 시마노제작소에 연락을 한다는 약속을 하였다. 하지만 애플은 시마노제작소에서의 납품을 줄이면서 한편으로는 유사제품을 시마노제작소의 하청업체인 중국업체에 제작하도록 하여 시마노제작소의 특허를 침해한 것은 물론이고 애플 주문에 맞추기 위해 설비투자를 늘린 시마노제작소에 많은 피해를 주었다고 한다.

또한, 거래 재개를 요구하는 시마노제작소에 기존 가격보다 반 이상 싼 가격으로 납품을 요구한 것뿐만 아니고, 그에 응한 시마노제작소에 가격 인하 전에 납품한 제품의 재고분에 인하된 금액을 곱한 1억 6천여만 엔의 리베이트를 요구하는 메일을 보내왔다.

계속되는 부당한 요구에 시마노제작소는 마침내 애플을 제소하게 되었고, 현재는 일본에서의 판매 금지를 요구하였지만, 앞으로 유럽뿐만 아니고 특허가 출원된 미국으로 번질 전망이다.

시마노제작소와 애플의 소송전은 아이폰 제작에 많은 부품을 납품하고 있는 다른 일본 업체(중국 다음으로 많은 139개 업체가 납품 중)등에게도 초미의 관심 대상이 되고 있어 앞으로도 이 문제는 중요한 이슈가 될 것 같다.

이런 시점에 애플이 일본에 아시아 최대의 연구개발센터를 짓겠다고 발표한 것은 무슨 의도일까? 또 그 뉴스가 아베 총리 입에서 처음 나온 것도 참 아이러니하다.


Posted by 오픈검색
,


일본 모바일 시장이 라인이 독주하고 있는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모바일 뉴스 시장으로 전환되고 있는 분위기이다.

한국에서는 생각만큼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모바일 뉴스 앱 시장이지만, 일본을 대표하는 모바일 뉴스 앱 구노시(GUNOSY:http://gunosy.com/)와 스마트뉴스(SMARTNEWS:http://www.smartnews.com/)가 최근 잇달아 대대적인 사업전략 발표회를 개최하면서 한동안 IT뉴스의 중심에 서 있던 모바일 메신저 라인의 뒤를 바싹 뒤 좇고 있는 양상이다.


먼저 선수를 치고 나간 것은 구노시이다. 2013년 1월에 오픈 이후 현재까지 7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는 구노시이지만 2015년 10월까지 2000만 다운로드를 달성하여 단순히 뉴스만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닌 모바일 인터넷의 포털로서 성장할 구상을 발표하였다.

현재 제휴를 맺고 있는 미디어는 200사를 넘어서고 있고 400여 개사가 광고를 통해 서비스와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구노시는 앞으로 다양한 서비스로 이어주는 포털로서 구노시에서 다양한 서비스의 예약과 구매가 완결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단순 뉴스 큐레이션 서비스에서 종합적인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의 변화를 꾀하고 있다.


한편 구노시보다 조금 빠른 2012년 12월에 서비스를 오픈한 스마트뉴스는 현재 다운로드수에서는 구노시보다 적은 600만을 기록하고 있지만 월이용자수에서는 구노시, 야후 뉴스, ANTENNA, 라인 뉴스를 누르고 1위에 올라서며 최근에는 36억 엔의 투자를 이끌어냈다.

                                          
                                          모바일 뉴스 앱 10월 이용자수
          (출처:http://www.itmedia.co.jp/news/articles/1411/28/news161.html)


스마트뉴스에는 현재 4대 일간지와 방송국 등 380여 개 미디어사가 참여하고 있으며, 미국에서도 영어 서비스를 오픈하여 뉴스부문 1위에 올라서기도 하였다. 스마트뉴스는 지금까지 광고를 실시하지 않았지만, 11월부터 테스트 광고를 시작하여 50여 개사가 광고에 참여하고 있으며, 네이티브광고 네트워크에는 MIXI, GREE, DeNA, 사이버에이전트 등 일본의 유명 인터넷기업들이 총 참가하고 있다.

단순히 뉴스 콘텐츠 제공에 멈추지 않고 일반 뉴스, 공공 뉴스 등을 통해 유저, 미디어, 광고사, 광고주, 공공기관까지 엮는 플랫폼으로서의 미래를 스마트뉴스는 그려가고 있다.


모바일 메신저로 출발해서 게임, 만화, 쇼핑을 흡수하고 배달서비스와 결제서비스까지 영역을 확대하며 일본 모바일 서비스의 중심에 서 있는 라인이지만, 뉴스 앱으로 시작하여 점차 영역을 확대하여 포털로 자리매김하려는 구노시와 스마트뉴스는 결코 만만한 존재는 아닌 것 같다. 얼마 전 라인 관계자가 라인 뉴스의 월이용자는 라인 뉴스앱과 라인 앱을 합하면 실제로 500만이라고 발표한 것도 급성장하고 있는 뉴스 앱을 견제하는 의미가 담겨 있지 않나 싶다.

한국과 일본은 PC 인터넷시대에 뉴스는 대부분 대표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와 야후재팬에서 소비되는 공통점이 있었다. 하지만 아이폰의 등장과 함께 시작된 모바일 인터넷 시대에 여전히 네이버를 통해 뉴스가 소비되는 한국과 달리 야후재팬에서 서서히 모바일 뉴스 앱으로 옮겨가는 일본의 이 차이는 어디서 나온 것일까? 역시 일본은 한국보다는 시장도 크고 다양성이 공존하는 시장이기에 가능한 것일까? 한국에서의 참신한 모바일 뉴스앱의 등장을 기대해본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