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최대의 온라인 게임 업체 넥슨이 12 14 일본에서 8 이상의 가치로 상장한다고 해서 한국 언론에서 대대적으로 전하고 있다. 특히 창업주인 김정주 회장은 상장에 성공하게 되면 삼성의 이건희 회장, 현대자동차의 정몽구 회장과 맘먹은 부를 움켜쥐게 된다고 해서 더욱 관심의 표적이 되고 있다.

넥슨은 일찍부터 지주회사인 NXC 설립하여 아래에 Nexon Japan 두고, 넥슨 재팬 산하에 넥슨 코리아와 넥슨 아메리카를 두는 형태를 갖추어 일본에서 상장한다는 소문이 끊임없이 이어졌지만, 매년 소문으로만 끝나다가 이번에 드디어 꿈을 현실화시키는 결과를 만들어낼 같다.

오랜
시간 일본 상장을 준비한 넥슨으로서는 상장 직전에 개인 정보 1,300 명분이 유출되는 사고가 터져 과연 상장이 제대로 이루어질까 걱정하는 모습이었지만, 넥슨으로서는 이번 사고가 회사 가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상장을 밀어붙일 모습이다.

넥슨의 이번 일본 증시 시가 총액 8 (5,500억엔) 올해 일본 증시에 상장한 기업 가장 규모이고 일본의 대표적인 소셜 게임 플랫폼 업체인 DeNA(3,656억엔) 넘어서 GREE(5,981억엔) 육박하는 규모이다. 일본 최대의 인터넷 기업인 야후 재팬(14,673억엔), 라쿠텐(11,266억엔) 비교해서도 결코 적지 않은 규모라고 있겠다.


한때는
6 억엔대까지 치솟다가 최근 매물로  프로야구구단 요코하마베이스타스 인수 결정과 소셜 게임 개발 업체에 압력 등의 문제로 주가가 급격하게 내려간 DeNA이지만, 운영 중인 모바게(Mobage) 여전히 일본 최대의 소셜 게임 플랫폼으로서 위치가 확고할 뿐만 아니라 내년부터 프로야구단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스가 본격 운영된다면 DeNA 물론이고 Mobage 브랜드력도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DeNA 형님격이라고 있는 소프트뱅크나 라쿠텐도 프로야구단 운영으로 야구단 운영에서는 적자를 내지만 그룹 전체로 봐서는 브랜드력 향상에 커다란 공헌을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 PC 중심으로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펼치는 넥슨과 휴대폰을 중심으로 소셜 게임 서비스를 전개해온 DeNA 직접적인 경쟁 상대가 아니었지만, 앞으로 시장 규모와 중요성에서 가장 크게 주목받는 스마트폰 게임 시장에서 가장 커다란 경쟁사로 부상하지 않을까 보인다. 한편, 넥슨은 일본 프로야구단 롯데 마린즈를 후원하고 있어 프로야구 시합에서의 양사 대결도 볼만할 같다.

한국을 대표하는 온라인 게임 회사들은 대부분 일본 시장에 진출하였고, 특히 일본의 온라인 게임 포털 시장에서는 한게임과 넥슨이 1,2위를 다투고 있다. 한편, 모바일 게임 특히 소셜 게임 시장에서는 일본의 DeNA(Mobage) GREE 1,2위를 다투고 있다. 세계 시장으로 눈을 돌리며 징가 등이 크게 앞서고 있는 가운데 DeNA GREE 일본 시장에서의 성공을 발판으로 각각 글로벌 시장의 스마트폰 게임 플랫폼 ngmoco OpenFeint 인수하며 한국 기업에 한발 앞서 세계 시장에 도전장을 내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넥슨이 일본 증시 상장으로 얻은 자금을 어떻게 활용할지 관심이 모여지고 있다. 국내의 우수한 게임 개발사를 차례로 인수하며 온라인 게임의 대제국을 건설한 넥슨이 풍부한 자금을 바탕으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스마트폰 게임 시장을 어떻게 공략할지? 최근 1,000 이상을 스마트폰 게임 시장에 투자한다고 발표한 NHN 동향과 함께 2012년은 세계 스마트폰 게임 시장을 둘러싼 한일 대표 게임 업체의 활약이 기대된다.



이글은 2012년 월간w.e.b 1월호에 기고하였던 글입니다.

웹스미디어 블로그 아이엠그라운드
트위터 @websmedia



Posted by 오픈검색
,

일본 도쿄의 한가운데, 롯폰기힐즈의 아리나 광장에서 한일 축제의 한마당을 알리는 양국을 대표하는 타악기의 울림이 도쿄의 가을 하늘에 널리 퍼져나갔다.


2009년부터 매년 가을에 열리는 한일 축제 한마당은 올해는 양국의 수도 서울과 도쿄에서 비슷한 시기에 열렸는데 도쿄에서는 10 1일과 2 양일에 걸쳐서 열렸다. 전날인 9 30일에는 주일 한국 대사와 문화체육관공부장관이 참가하고 일본에서는 외무대신 등이 참가한 전야제가 화려하게 펼쳐져 한일 축제 한마당이 이제는 한일 양국 교류를 상징하는 행사로 발전하였음을 느낄 있었다.


올해로 3회를 맞이한 한일 축제 한마당은 "공존 공영의 21세기" 주제로 "사람을 연결하고, 문화를 연결하고, 그리고 미래를 연결한다."라는 소망을 담아 양국의 매듭을 연결한 멋진 디자인으로 승화되었다. 특히 올해 일본에서 발생한 3.11 동일본대지진의 재해로 일본 혼자만의 힘으로는 도저히 헤어나지 못하고 힘들어하고 있을 가장 가까운 이웃 나라 한국에서 제일 먼저 원조의 손을 뻗쳤다는 사실은 앞으로의 한일 관계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을 것이며, 이번 축제에서도 그런 부분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고 보인다.

한일
축제 한마당에서는 축제 행사로 K-POP 커버댄스, 한국 가요 콘테스트 대회 등이 최근의 한류 붐과 함께 뜨거운 경연이 펼쳐졌고, 외에도 타악기 연주, 민속무용, 자선 옥션 등이 열렸으며, 한국 음식을 맛보거나 체험할 있는 장도 마련되어 휴일을 맞이하여 찾아온 많은 일본인이 한국의 문화와 맛을 더욱 가깝게 느낄 있는 장이 되었다고 보인다.


축제를 성공적으로 치르는데 필요한 협찬에는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삼성과 엘지 그리고 소니, 파나소닉 등 수많은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데, 한일 축제 한마당이 한일 정부와 양국 국민뿐만 아니라 기업체에게도 중요한 행사로 자리 잡어 참석한 모든 사람이 만족할 수 있는 즐겁고 풍요로운 한마당 축제가 되었지 않나 생각된다.

한편, 이번 행사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주일 한국대사관에서는 SNS 시대를 맞이하여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일본에 거주하는 한국인은 물론이고 일본인들에게도 더욱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최근에는 한국에 관심이 있는 일본 대학생을 페이스북을 통해 선발, 백제 유적지로 초대하여 다양한 체험을 통해 한국 문화와 역사를 소개하는 "제1기 SNS 리포터"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는데, 참가 대학생 등의 영상 작품이 이번 축제 한마당에서 소개되어 많은 이들이 관심을 보였다. 리포터로 참가한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일본의 젊은이들이 K-POP 등 한국 문화를 접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에 관심을 갖게 되는 과정을 확인하면서 밝은 한일 관계를 다시 한번 기대할 수 있었다.

출처 : 주일 한국대사관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KoreanEmb.Japan

개인적으로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추진하는 SNS 활용 분야에 고문 자격으로 참가하고 있는데, 이번 축제의 알찬 콘텐츠들이 그냥 흘러가지 않고 더욱 많은 사람들이 접할 있도록 다음 해에는 축제에 직접 참여하지 못한 사람들도 PC 스마트폰으로 참여하고 있도록 인터넷 라이브동영상 중계를 적극적으로 추천하고자 한다.

전에는 상상도 없었던 한일간의 친밀함을 다시 확인하며, 롯폰기 하늘에 울려퍼지는 한국민요를 들으며 행사장을 뒤로 하였다.




이글은 2011년 월간w.e.b 11월호에 기고하였던 글입니다.

웹스미디어 블로그 아이엠그라운드
트위터 @websmedia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