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Twitter)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대표적인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 그 가운데 한국과 일본의 기업 리더들도 트위터를 통해 소비자와 적극적으로 직접 대화를 나누며, 지금까지는 멀게만 느껴졌던 기업가와 소비자의 거리를 빠르게 좁혀가고 있다.

한국 기업가 중 대표적인 트위터리안(Twitterian, 트위터 사용자)은 두산인프라코어의 박용만 회장이다.




박용만 회장의 아이패드 개봉기 동영상


대기업 대표가 트위터라는 열린 공간에서 사적인 이야기와 회사 생활 등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내거나 두산의 굴착기 장난감을 트위터 친구에게 선물하는 등 편하고 인간적인 트윗으로 많은 트위터리안으로부터 인기를 끌었다.


최근에는 한국에서는 발표되지 않은 구글의 스마트폰 넥서스원을 개인 수입해 개통하거나, 미국 방문 시 애플의 아이패드(iPad)를 구매해 익살스러운 동영상을 올린 것이 언론에 소개되기도 했다. 박용만 회장의 트위터는 대중에게 두산과 두산을 이끄는 리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심었다.

 

이웃 나라 일본에서 트위터에 가장 열성적인 기업인으로는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사장을 꼽을 수 있다. 손정의(손마사요시) 사장은 자신이 좋아하는 사카모토 료마에 대한 이야기를 트위터에서 즐기고, 최근 NHK에서 방영하는 드라마 료마전(龍馬傳) 방영 시간이 되면 일본의 사카모토 료마 팬들과 함께 감동을 나누기도 한다.



소프트뱅크 본사에 설치된 유스트림 전용 스튜디오


또한, 손정의 사장은 자신의 비전과 철학을 트위터를 통해서 전하기도 하지만, 수많은 사용자의 생생한 소리를 흡수해 즉시 담당자에게 지시를 내리는 모습도 보인다. 소프트뱅크가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유스트림(USTREAM)을 인수했을 때 트위터 사용자가 손정의 사장에게 제안한 유스트림 스튜디오를 바로 만들기도 했다. 최근에는 자신이 트위터에서 한 약속의 실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를 만들어 약속하겠습니다’, ‘검토하겠습니다’, ‘완료했습니다등의 의사를 올려 사용자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손정의 회장의 트위터에는 개인적인 일이나 사용자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수 있는 이야기가 많지만, 때로는 이동통신사로서 회사 사활이 달린 통신 품질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토론도 하고, 품질 개선을 위해 막대한 투자를 약속하는 모습도 보여준다. 회사 대표가 책임지고 개선을 표명했다는 점에서 소비자에게 강한 신뢰감을 심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박용만 회장이나 손정의 사장 모두 오너 대표이기에 자유로운 발언과 빠른 실천이 가능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다양한 이해가 얽혀 있는 대기업 대표가 열린 공간에서 자유로운 발언을 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 이들과 똑같은 위치에서도 여전히 외부와 차단된 공간에서 모든 것을 결정하고 진행하는 대기업 경영자가 대부분이다. 그런 점에서 이들의 행동은 신선하다. 사용자로서 호감이 생기고 응원하고픈 마음이 드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라고 본다.


인터넷의 발달로 세상은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누구나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열린 정보화 시대에는 대기업의 경영자일수록 소비자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소비자와 소통하려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이글은 2010년 월간w.e.b 5월호에 기고하였던 글입니다.

웹스미디어 블로그 아이엠그라운드
트위터 @websmedia


관련글
2010/06/03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트위터를 인류의 에이와로 보는 손정의 사장, 트위터를 품을까?
2010/03/04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트위터에 이어 글로벌 유망 서비스 일본 상륙
2009/11/20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트위터에 맞선 역전의 日 인터넷 기업
2009/08/14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트위터의 재미를 더해주는 일본 웹서비스들
2009/07/19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한국과 일본은 지금 Twitter 붐


Posted by 오픈검색
,

전 세계적으로 200만대 이상 팔린 것으로 알려진 아이패드(iPad)의 일본 판매 동향이 심상치 않다.


일본 양판점의 판매 동향을 조사 분석하는 BCN이 발표한 내용을 보면, 아이패드를 팔기 시작한 28일 당일 판매 대수가 iPhone 3G와 iPhone 3GS의 판매 시작 당일 숫자보다 3배에 가까운 숫자를 기록하였다고 한다.

물론 소프트뱅크 모바일 무선망을 이용하는 3G 모델과 와이파이(WiFi)모델 두 모델을 동시에 시장에 내놓았기 때문에 판매 숫자가 크게 늘었다고 보이지만, 3G 모델과 와이파이 모델의 판매 비율을 보면 55:45로 3G 모델이 조금 더 많이 팔려나가고 있다.

또 3G 모델 64GB 모델이 전체의 35% 차지하였고, 와이파이 모델 64GB가 16%를 차지하며 2위를 달리고 있다.

아이패드는 판매 당일 이후에도 꾸준하게 판매가 이어지고 있어, 앞으로도 판매 수를 계속해서 늘려나가지 않을까 보인다.

BCN에서는 아이패드는 노트북으로 분류하고 있는데, 노트북 전체 판매수에서 아이패드는 10%에 조금 못 미치는 점유율을 보였는데, 애플은 전체 노트북 시장에서 도시바(22.1%), 후지츠(17.4%), NEC(16%)에 이어 11.5%로 4위로 급부상하였고, 바이오북으로 유명한 소니는 9.3%로 굴욕적인 5위에 머물렀다.

아이패드 큰 성공은 일본 언론들의 취재 열성도 한몫하였다고 보인다.

아이폰이 출시되었을 때도 언론이 열성적으로 다루어주었지만, 아이폰이 휴대폰을 대체하는 새로운 단말기라는 소개에 그쳤다면, 이번 아이패드는 생활 전체에 다방면으로 영향을 미치는 단말기로 아이폰을 뛰어넘는 관심을 보여주며 뉴스뿐만 아니라 여성들이 많이 보는 낮 프로에서도 자주 다루어져 판매 증진에도 크게 이바지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또한, 6월 24일부터 새롭게 출시되는 iPhone 4가 아이패드와 겹치면서 판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염려도 있지만, WWDC 2010에까지 달려가 아이폰 4를 직접 경험한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사장은 앞으로 아이폰과 아이패드는 일상생활에서 꼭 필요한 제품으로 두 제품을 함께 사용하는 생활 스타일을 강조하여 아이패드와 아이폰 4가 서로 시너지 효과를 주면 판매 증진을 이끌지 않을까 하는 예상도 해 본다.



더구나 손정의 사장이 발벗고 추진하는 초고속 인터넷의 길(光の道)과 연계해서 전자 교과서와 전자 카르텔을 적극적으로 밀고 있는데 전국 1,800만(예상액 3,600억엔)의 학생들과 29만(예상액 58억엔)의 의료 관계자에게 무료로 뿌려지는 단말기로 아이패드가 결정되면 일본은 eJapan이 아닌 iJapan이 되지 않을까!!


관련글
2010/05/24 - [일본 인터넷 서비스 이야기] - 상점 판매 증가를 iPad가 돕는다.
2010/05/17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재계의 이단아 손정의 VS 언론계의 이단아 사사키
2010/05/11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NTT도코모의 구애를 뿌리친 애플 아이패드(iPad)
2010/04/27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인터넷의 힘으로 일본 부활을 꿈꾸는 일본 IT의 두 거물
2010/04/23 - [한국 인터넷 이야기] - 미국 발매 아이패드(iPad) 한일 사용 불가!
2010/02/01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아이패드(iPad)가 연 일본의 SIM 프리 세상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