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니코동화가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중지하였을때, 개발자 혼자서 운영하는 jimaku.in이 크게 주목을 받았는데, 그 지마쿠인의 주인공이 드디어 무직에서 법인 사장님으로 탈바꿈하였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립된 회사이름은 서비스 이름을 따서 字幕.in株式会社이다.자본금은 50만엔으로 임원이자 사장인 지마쿠인의 개발자 야노(矢野)씨가 46만5000엔(93%), 또 한명의 임원이 2만5000엔(5%), 그리고 벤처캐피탈인 GMO VenturePartners에서 1만엔(2%)를 출자하였다고 한다.

특이한 점은 벤처캐피털로부터 1만엔의 출자를 받은 점, 회사 설립에 관한 조언과 사무실등의 지원를 받은 댓가로 참여를 받았다고 하며,야노씨와 같은 동향 출신이자 최근에 자신의 자서전 "이런 저도 사장님이 되었다(こんな僕でも社長になれた)"을 출판한 paperboy&co의 사장인 이에이리(家入)씨가 인턴으로 참가한 점이다.

야노씨는 지금까지 자신의 사이트 satoru.net을 통해 혼자서 개발한 50여가지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는데 이번 지마쿠.in의 경우 많은 곳으로부터 관심을 받게 되어 회사 설립까지 이어지게 되었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無職から社長に―「字幕.in」が会社化
무직에서 사장으로-"지마쿠.in"이 법인화
字幕.inはテキストを更新していくだけのサービス。動画はYouTubeなど外部のサーバを利用しているので、アクセスが集中してもトラフィックはそれほど大きくならず、サイトの広告収入だけでサーバ費用をまかなえる。独自の動画サーバもあるが、知り合いが働いている企業・ジオマックスから無償で借りているからコストはゼロだ
지마쿠.in은 텍스트를 갱신하는 서비스. 동영상은 YouTube등의 외부 서버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방문자가 몰려도 트래픽은 그리 크지 않으며, 사이트의 광고 수입으로만으로 서버 비용을 충당할 수 있다. 독자적인 동영상 서버도 있지만, 지인이 근무하고 있는 기업 지오막쿠스에서 무상으로 빌리고 있어서 비용은 0엔이다.

オフィスにもお金がかからない。サービス開発はノートPC 1台あればできるし、ネット環境はイー・モバイルで十分。あとは携帯電話があれば、どこでもオフィスになる。「1人でやっている限り、どこででもできます。自宅でもいいし、電源貸してくれるマクドナルド店舗もオフィスになるんじゃないかって真剣に考えています」
오피스에도 돈이 들지 않는다. 서비스 개발은 노트북 1대 있으면 가능하고, 인터넷 환경은 E모바일로 충분. 그외 휴대전화 가 있으면 오피스가 된다. "혼자서 하고 있는 이상, 어디에서도 가능하다. 집에서도, 전원을 빌려주는 맥도널드 점포도 오피스로 이용 가능하지 않을까 하고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습니다."

飽きっぽくて、1つのことを続けるのは少し苦手。でも新しいものを思いつくとすぐに作ってしまう技術とバイタリティーは人一倍。無職の開発者としてsatoru.netで、面白いサービスを作っていきたい。
쉽게 질리고, 한가지를 지속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그렇지만 새로운 것을 생각하여 만들어 내는 기술과 정신력은 남보다 뛰어나다. 무직의 개발자로서 satoru.net으로 재미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나가고 싶다.

「面白いサービスを作っていく中でビジネスの話が来れば、その都度そのサービスだけを切り離して会社にし、ビジネス化する、といったような発展ができれば」
"재미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나가는 중에 비즈니스 이야기가 있다면, 그때 그때 관련 서비스를 떼어 내어서 법인화하여 비즈니스화 하는 그런 발전이 가능하다면"

구글이나 아마존 같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거대한 플랫폼의 개발이나 역활은 불가능할지 몰라도 웹세상을 보다 즐겁고 재미있게 여행하는데 도움이 되는 서비스를 만들어 내는 데는 이와 같은 자유분방한 개발자들의 활약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물론 이와 같이 돈을 위해서가 아닌 자신과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개발한 서비스가 결국에는 MS나 구글을 뛰어넘는 기업으로 발전하는 시초가 되는 것도 역사를 돌으켜 보면 언제든지 가능한 일로 여겨진다.

지금도 끊임없이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 내고 있는 야노씨의 무한한 상상력과 개발력에는 찬사를 보내고 싶다.

새로운 서비스로 이미지 검색 서비스 "강물같이 흘러서(川の流れのように)", 최근이 인기 키워드를 자동으로 입력 그리고 검색해 주는 서비스 "안드로이드(アンドロイド)"를 벌써 만들었다고 하는데, 네이버의 실시간 인기 키워드를 자동 입력 그리고 검색해주는 서비스도 괜찮지 않을까?

관련글
신세대 인터넷 기업을 위협하는 개인 개발자들
Posted by 오픈검색
,

회사 규모나 유저수에 관계 없이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인터넷 관련 신생 벤처를 비교하면 많은 부분에서 닮은꼴을 찾을 수 있다.

우선 한국과 일본을 대표하는 신생 벤처를 꼽아야 하는데 일본 대표로는 일본 언론에 가장 자주 거론되며, 이 블로그의 주제로 자주 거론되는 Hatena(하테나)를 들 수 있을 테고 한국 대표로는 블로그 소프트웨어를 오픈소스화 시켰고 웹2.0기업으로 언론에 자주 거론이 되는 TNC(태터앤컴퍼니)를 꼽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양사에 대해서는 언론에 보도되는 내용과 열성적인 블로거들로 구성된 양사의 블로그들을 통해서 수집된 내용을 토대로 간추려 본다.(틀린 내용은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atena가 설립한 게 몇 년 앞선 관계로 태터앤컴퍼니에 비해 수익 구조 면에서 튼튼한 기반을 잡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진정한 승부는 이제부터가 아닌가 싶다.

양사의 최대의 승부처는 캐즘을 넘어서 현재의 주역들인 네이버(nhn)와 야후재팬(Yahoo! JAPAN)이 장악하고 있는 광활한 영토로, 일반 유저 대상의 영역까지 세력을 확대하여 새로운 시대의 주역 자리를 꽤 차는 일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와 동시에 외국의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 발 빠르게 외국으로 외국으로로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모습도 영락없이 닮은꼴인데, 시간과 공간의 벽을 뛰어넘어 세계에 통하는 서비스를 창조하여 얼마나 커다란 결과물을 만들어 낼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지만, 그 점에서 한발 앞서 해외시장에 나선 Hatena가 얼마후 새로운 글로벌 서비스를 공개한다고 하니 기대해 본다.

한국에서 태터앤컴퍼니가 커다란 성장을 이루려면 설치형 블로그와 티스토리 등 포털 블로그 이외의 블로그들이 활성화되어야 하는데 구글의 동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 않을까 싶다.

현재와 같이 네이버가 검색시장의 70% 이상을 차지 하는 상황에서는 네이버 블로그 이외의 타 블로그들이 네이버 검색을 이용하는 전체 인터넷 유저중70%의 유저들에게 접근하는 것은 그리 간단한 일이 아니다, 물론 블로그 검색에 외부 블로그가 등장하기 시작했으나 800만이 이용하는 네이버 블로그의 막대한 수적 우위와 펌블로그들의 강력한 노이즈 앞에는 역부족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와 같은 시장의 흐름을 바꾸어 줄 수 있는 힘을 구글에서 찾을 수 밖에 없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이제 겨우 5%를 넘어선 구글이지만 네이버 블로그 외의 외부 블로그들에는 단비와 같은 유저 유입의 통로로서 구실을 충실히 하여 주고 있다.

그런 구글이 앞으로 30% 정도의 점유율을 확보한다면 외부 블로그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네이버도 외부 블로그들을 중요도를 고려한 검색 결과에 제대로 반영을 시킬 수 밖에 없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30만 이상 다운로드 된 태터툴즈와 티스토리 등의 블로그를 껴안은 태터앤컴퍼니의 위상은 비약적으로 높아질 것이고 이용자 수도 급격하게 증가하리라 여겨진다.

그런 점에서 구글이 30% 이상을 차지하는 일본 시장에서 유저확대에 한계를 보이는 Hatena보다는 자국 시장에서 앞으로 희망을 품을 수 있는 것은 태터앤컴퍼니쪽이 아닌가 싶다.

유저 확대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지만 그 대신 50만 이상의 충성도 높은 유저와 함께 Hatena는 키워드링크라는 절묘한 기능으로 구글이나 아마존의 어필리에이트 프로그램에 최적화되어 그 어떤 사이트보다 탄탄한 수익구조를 만들어 놓은 것은 한 수 접어주어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양사의 모습에서 양국의 인터넷 현실도 엿보이고, 젊은 기업답게 기존의 업체들이 할 수 없는 발 빠른 움직임으로 업계 전체에 활기를 불어 넣는 모습에서 한일 양국의 미래가 절대로 어둡지만은 않다는 걸 느낄 수 있다.

근대화와 현대화는 일본에 한참 뒤 쳐져서 시작을 하였지만, IT화에서 만은 비슷한 시점에서 출발을 한 양국, 그 미래를 만들어나갈 두 젊은 회사는 세상에 대한 두려움이 없고 일을 즐기면서 하려는 모습이 많이 느껴진다.

선두기업인 nhn이 분발해야겠지만, 그뒤를 쫒아가는 신생기업의 발 걸음도 우리는 기대와 희망을 갖고 지켜봐야겠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