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모바일 SNS 시장에서 최고의 라이벌이 본격적인 경쟁을 시작하였다.

유저 500만을 획득하며, 일본 최초의 SNS인 GREE는 물론 일찍부터 일본시장에 공을 들이고 있는 한국의 싸이월드, 최근 일본진출을 선언한 세계 최대의 SNS인 마이스페이스를 여유롭게 따돌리며 일본 최대의 SNS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mixi가 모바일 SNS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면서 현재 10대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으며 200만의 회원을 확보한 모바일 SNS 최대의 사이트인 모바게타운과의 경쟁에 불을 지폈다.

두회사는 경쟁하듯이 17일 18일 양일에 걸쳐 자사의 유저수와 일일 방문자수를 언론에 공표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mixiの携帯電話向けサービス「mixiモバイル」、1日で1億PVを突破
mixi의 휴대폰 서비스 "mixi 모바일", 1일 1억PV를 돌파(17일 발표)
ミクシィ代表取締役社長の笠原 健治氏は、1億PV突破の理由として「2006年12月に、すべてのユーザーが、mixiモバイルでもメッセージが使えるようになったこと、また、mixiモバイルで招待および登録が完結できるようになったことが大きく影響している」と分析
믹시 대표이사 사장인 가사하라 켄지씨는 1억PV 돌파의 이유로서 "2006년 12월에, 모든 유저가, mixi 모바일에서도 메신저가 사용할수 있게 된 것, 또 mixi 모바일에서 초대 또는 등록이 완결될수 있다는 것이 큰 영향을 주었다"라고 분석

mixiモバイルのユニークユーザーは2006年12月時点で230万人、携帯電話からだけでも、1日1万2000以上の新規ユーザーの登録があるという。
mixi 모바일의 유니크 유저는 2006년 12월 시점에서 230만명, 휴대전화로만 1일 1만2000명 이상의 신규 유저의 등록이 있다고 한다.

性別 男性:43.7% 女性:56.3%
성별 남성:43.7% 여성:56.3%
年齢 10代:15.2% 20代:65.2% 30代:16.3% 40代:2.8% 50代:0.4% 60代以上:0.1%
연령 10대:15.2% 20대:65.2% 30대:16.3% 40대:2.8% 50대:0.4% 60대이상:0.1%

モバゲータウンが1日2億PVを達成--モバイルではmixiの2倍に
모바게타운이 1일 2억PV를 달성--모바일에서는 mixi의 2배로(18일 발표)
モバゲータウンは2006年2月にサービスを開始したモバイル向けのSNSだ。約50種の無料ゲームやアバター、日記やサークル(コミュニティ)などのサービスを提供しており、サービスは既存ユーザーの紹介を必要としない登録制となっている。利用は無料
모바게타운은 2006년 2월에 서비스를 개시한 모바일 SNS이다. 약50종의 무료 게임과 아바타, 일기와 카페(커뮤니티)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서비스는 기존 유저의 소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등록제로 되어 있다. 이용은 무료

DeNAによると、2006年12月末の会員数は259万人、月間PVは48億6700万となっている。サービス開始当初のユーザー割合では10代が圧倒的に多かったが、2006年6月末以降、20代のユーザーも急増しているという
DeNA에 의하면, 2006년 12월말의 회원수는 259만명, 월간 페이지뷰는 48억6700만정도이다. 서비스 개시 초기의 유저 비율은 10대가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2006년 6월말 이후 20대의 유저도 급증하고 있다.

性別 男性:60% 女性:40%
성별 남성:60% 여성:40%
年齢 10代:65% 20代:28% 30代以上:7%
연령 10대:65% 20대:28% 30대이상:7%

PC 인터넷보다 모바일 인터넷 유저수가 많은 일본 시장에서 성장의 정체를 겪고 있는 mixi로서는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서의 모바일 SNS 시장을 포기할수 없는 상황이며, 그앞을 막고 서 있는 모바일 SNS의 강자로서 모바게타운과의 경쟁은 피할수 없는 상황이다.

초대제로 폐쇄적 SNS의 대명사 mixi와 등록제로 누구나 쉽게 가입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즐길수 있는 모바게타운의 숙명의 대결은 최근 사이트 폐쇄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을지도 모른다는 2ch과 함께 향후 일본 인터넷 시장을 연구하는 좋은 소재가 될것 같다.

관련글
일본판 모바일 싸이월드 "모바게타운"
일본의 믹시(mixi)가 성장 둔화
mixi 피로 해결책


Posted by 오픈검색
,

일본에서 커뮤니티 서비스를 할 계획을 갖고 있다면 일본 기업들이 몸으로 체험하여 추천하는 사쿠라 인터넷의 IDC센터가 좋을듯 싶다.

현재 300여대의 서버로 50만의 회원과 800만의 순방문자 그리고 월5억에 달하는 페이지뷰를 처리하고 있는
하테나가 드디어 IDC센터로 옮기기로 결정하였는데 그곳이 다름아닌 사쿠라 인터넷 IDC센터이다.

하테나의 CTO를 맡고 있는
나오야씨가 IDC센터의 선택 이유부터 서버포장 이동 설치까지의 내용을 소상하게 전하고 있다.

さくらインターネット移行期#1
사쿠라 인터넷 이행기 #1
사용자 삽입 이미지
さくらインターネットに決めた理由は回線品質の高さと回線が低価格である点でした, はてなのようなコミュニティ中心のサービスは、お金の面では、どうしても回線コストと収益の間にアンバランスが生じがちです。ショッピングサイトや各種メディアのようなコンテンツに比べてマネタイズが難しい、というのがその主な理由です.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쿠라 인터넷으로 결정한 이유는 회선품질의 뛰어남과 회선 가격이 낮다는 점입니다, 하테나와 같은 커뮤니티중심의 서비스에서는 금전적인 면에서 어쩔수 없이 회선 코스트와 수익간에 불균형이 생기기 일쑤입니다. 쇼핑몰 사이트와 각종 미디어와 같은 컨텐츠에 비해 머니터리즈(Monetars)가 힘들다 라는 것이 주요 이유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同じようにコミュニティサービスをやっている Mixi や Gree がさくらインターネットを選択しているのには、おそらくこういった懐事情も結構あるのではないかなと思います。昨今ウェブで流行しはじめたサービスはどれも似たような傾向を持つものが多いので、さくらインターネットのような回線価格で勝負している業者の需要は今後も増していくのではないかと予想しています



비슷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하고 있는
MixiGree가 사쿠라 인터넷을 선택한 것에는 아무래도 이와 같은 속사정도 꽤 있기때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현재 웹에서 유행하시 시작한 서비스는 대부분 닮은 경향을 갖고 있는것이 많기 때문에 사쿠라 인터넷과 같은 회선 가격으로 승부하고 있는 업자의 수요는 향후 증가하여 가지 않을까 예상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랙의 밑구멍에 들어가 있는 곤도CEO(일본에 와 있나 보군요)와 최종 점검 모습

*곤도씨의 재미있는 모습을 하테나 세리후로 벌써 만들어져 나와 있군요.
하테나의 개발/운영체계 설명 화일(일본어)
 


사쿠라 인터넷의 요금표
사용자 삽입 이미지
1랙 100M 프리미엄, 초기비용 20만엔, 월60만엔(세금포함 63만엔)

사용자 삽입 이미지
1/8랙 10M(보증 1M/최대 3M) 초기비용 5만엔, 월 7만5천엔(세금포한 7만8천7백5십엔)

세상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있다고 하지만 서버를 국외에 두고 서비스를 한다는 것은 위험이 크다고 볼수 있다, 특히 온라인 게임 서버나 동영상 스트리밍 서버등 일본을 대상으로 한 서버를 가격이 싸다는 이유만으로 한국의 IDC센터에 둔다는것은 안정된 서비스를 보장하는 서비스 업체로서는 쉽지 않은 결정일것이다.

과거에 분당에 있는 IDC센터에 일본의 담당자와 가 볼 기회가 있었지만 뛰어난 시설과 저렴한 가격에도 불구하고 결국에는 서비스의 안정화를 위해 일본에 서버를 둘수 밖에 없는 선택을 하는것을 지켜볼수 밖에 없었다.

그 당시(2002년경)만 해도 한일간의 케이블보다는 한미, 미일간의 케이블이 빠르고 안정적이었다는 기억이 있다, 현재는 많이 개선이 되었는지 모르겠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