찻잔 속의 태풍으로 끝날지 더 두고 봐야겠지만, 블로고스피어에서 최근 주목받는 두 서비스가 나타났다.

다름 아닌 프로필 위젯(프젯)트위터(twitter)다.



두 서비스의 특징은 타인의 눈치를 보지 않고 부담없이 운영하면서 가벼운 커뮤니티를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프로필의 키워드와 그날의 기분으로 이어지는 프로필 위젯
인사이트미디어가 새롭게 개발하여 선보인 프로필 위젯은 자신의 이미지와 프로필을 적어 등록하면 자신의 블로그에 설치할 수 있는 위젯이 생성되어 바로 블로그에 설치할 수 있다.

블로그를 방문한 유저에게 자신을 소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프로필에 적은 자신의 출신지 또는 출신 학교와 취미 등이 키워드로 연계되어 비슷한 성향의 다른 유저와 연결될 수 있다, 이것은 일본 Hatena 다이어리가 본문에 담겨 있는 단어에 자동으로 링크가 걸리는 키워드 링크로 다른 유저와 연결되는 것과 비슷해 보인다.

대기만성형의 트위터가 2009년 한국 블로고스피어를 달군다.
한편, 트위터는 마이크로 블로그의 원조로 미국을 중심으로 영어권에서 사랑을 받으며 폭발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고, 옆 나라 일본에서도 2007년부터 인기를 끌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토종 서비스인 미투데이(me2day)가 인기를 끌면서 트위터는 관심을 끌지 못했다.

그 트위터가 무슨 이유에선지 올해 들어 여기저기서 조금씩 사용하는 유저가 늘어나더니 5월 들어서 유명 블로거들이 자신의 블로그에 트위터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커밍아웃(?)하면서 불을 지르고 있다.

프로필 위젯과 트위터 궁합은 찰떡궁합?
개인적으로 트위터를 이용하는 기회가 늘고 있는데, 프로필 위젯에 오늘의 기분을 적는 Today가 트위터와 연동하여, 자신의 트위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등록하면, 트위터에 적은 혼잣말이 Today에 자동으로 등록되어, 자신의 기분이나 짧은 주제를 가지고 커뮤니티를 즐길 수 있으면 두 서비스를 따로따로 운영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지면서 지속적으로 이용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 프로필 위젯이 아이폰용 애플리케이션으로 나와 아이폰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트위터의 독주, 그리고 Poken과 푸루후
일본에서는 마이크로 블로그 시장에서 트위터 혼자 독주하고 있다. 

미국 트위터에는 일본의 중견 인터넷 기업
디지털 개래지(Digital Garage)가 투자도 하고, 일본에서의 비즈니스 전개도 함께 추진하고 있어 일본 마이크로 블로그 시장에서의 트위터 독주는 계속해서 이어질 것 같다.

최근 트위터를 중심으로 웹상에서 전자명함
Poken이 각종 IT 이벤트의 필수 소지품으로 인식되면서 관심을 끌고 있어, 다음 주에 열리는 군중의 지혜 서밋 2009 이벤트에 Poken도 협력사로 참여, 20% 할인 판매도 한다니 이 세상에서 살아남으려고 살까 한다.

한편, 일본의 10대들은 컴퓨터보다 휴대폰을 통해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자신의 프로필 홈페이지를 모바일 웹상에 만들어 친구들과 커뮤니티를 즐기는 푸로후가 인기를 끌고 있는데, 한국에서는 아직은 모바일보다는 컴퓨터의 이용이 압도적이라 PC 기반의 프로필 위젯이 인기를 끌겠지만, 모바일 OS업체와 휴대폰 제조업체가 자사 플랫폼을 오픈하면서 앞으로 모바일 프로필 위젯도 커다란 가능성이 담겨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트위터에 등장한 김연아라는 돌발사태!
트위터가 캐즘을 넘어 대중화에 성공할 수 있는 커다란 우군이 생겼다, 현재 한국 최고의 스타인 김연아 선수가 트위터를 시작한 것이다.

 

김연아 선수의 트위터로 보이는 Yunaaaa

프로필 위젯과 트위터가 성장이 어디까지 이어질지? 그리고 김연아 선수가 트위터를 꾸준히 운영해 나갈지 열심히 지켜보고자 한다.


트위터와 관련해서 추천 글
Twitter 안 하세요? - inuit님
트위터 폭풍이 몰려 온다! - easysun님
“트위터 인기, 한국서도 가파른 상승곡선” - Bloter의 asadl님
한국에서도 트위터(twitter.com)가 인기 몰이를 시작했다? - 연서아빠님
Posted by 오픈검색
,

한국을 대표하는 콘텐츠로서 한류 드라마도 있지만, 세계적인 경쟁력이나 미래 중추 산업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진 콘텐츠를 꼽으라면 온라인 게임이 아닐까 싶다.


중국 시장에서는 초창기 시장의 70%까지 점유율을 높였다가 중국 업체에 빠른 성장으로 시장의 주도권을 넘겨주나 싶었지만, 뛰어난 개발 능력과 운영 노하우로 다시 시장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일본 업계 사람들도 인정하는 온라인 게임의 메카 대한민국, 그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많은 온라인 게임 업체들이 일본 시장에 진출하여 시장 활성화와 기반 구축에 많은 정성을 쏟고 있다.

지금은 콘솔 게임이 일본 게임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온라인 게임 시장이 개화하는 순간, 한국 온라인 게임 업체와 게임이 일본의 게임 시장을 주도할 것을 기대해보며, 일본에서 활약 중인 한국 온라인 게임 기업의 리스트를 정리하였다.

NHN 재팬
(한국 NHN)
http://www.nhncorp.jp
게임 포털 한게임 http://www.hangame.co.jp/
대표 게임 스페셜포스 팡야
2009년 1분기 매출 1,164억원 

엔씨 재팬 (한국 : 엔씨소프트) http://www.ncjapan.co.jp/
게임 포털 플레이엔씨 http://www.plaync.jp/
대표 게임 리니니, 리니지2, 아이온
2009년 1분기 매출 1,334억원

넥슨 재팬 (한국 : 넥슨) http://www.nexon.co.jp
게임 포털 NEXON http://www.nexon.co.jp
대표 게임 메이플스토리, 마비노기, 데일즈위버, 아라드전기(던전앤파이터)
2009년 1분기 매출 ?

게임온 (한국 : 네오위즈게임즈) http://www.gameon.co.jp
게임 포털 게임츄 http://www.gamechu.jp/
대표 게임 뮤(MU) 아바(Alliance of Valiant Arms)
2009년 1분기 매출 583억

CJ인터넷 재팬 (한국 : CJ인터넷) http://www.cjinternet.jp
게임 포털 넷마블 http://www.netmarble.jp/
대표 게임 진삼국무쌍 온라인, 이스 온라인
2009년 1분기 매출 563억

한빛유비쿼터스엔터테이먼트 (한국 : 한빛소프트) http://www.hanbit.jp
게임 포털 클럽한빗 http://www.clubhanbit.jp/
대표 게임 그라나도에스파다, 네오스팀
2009년 1분기 매출 169억 2008년 662억

엠게임 재팬 (한국 : 엠게임) http://www.mgame.jp/
게임 포털 엠게임 http://www.mgame.jp/
대표 게임 열혈강호, 귀혼
2009년 1분기 매출 146억

게임야로우 (한국 : 게임하이) http://www.gameyarou.jp/
게임 포털 레드 바나나 http://www.redbanana.jp/
대표 게임 서드어택(SUDDEN ATTACK)
2009년 1분기 매출 104억

YNK 재팬 (한국 YNK) http://www.ynkjapan.co.jp
게임 포털 게임컴 http://www.gamecom.jp/
대표 게임 로한, 씰온라인
2009년 1분기 매출 31억


직접 일본 시장에는 진출하였지 않지만, 다른 퍼블리싱 업체를 통해서 온라인 게임을 수출한 상위권 온라인 게임 기업 리스트

엑토즈소프트 http://www.actoz.com/ 미르의전설, A3  중국 샨다의 자회사
2009년 1분기 매출 375억

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http://www.wemade.com 미르의전설2
2008년 매출 750억

예당온라인 http://www.ydonline.co.kr/ 프리스톤테일, 오디션
2009년 1분기 매출 174억

그라비티 http://www.gravity.co.kr 라그나로크 일본 검호의 자회사
2008년 매출 420억

티쓰리엔터테인먼트(T3) http://www.t3.co.kr 오디션 개발
한빛소프트 인수
2008년 매출 317억

웹젠 http://www.webzen.net/ 뮤
2009년 1분기 매출 74억

JCE엔터테인먼트 http://www.jceworld.com/ 프리스타일
글로벌 사이트 http://www.gamekiss.com
2009년 1분기 매출 54억

바른손게임즈 http://www.barunsongames.com/  라그하임 라스트카오스
2008년 매출 71억

소프트맥스 http://www.softmax.co.kr/ 마그나카르타, 테일즈위버
2008년 매출 42억


2007/09/25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일본 진출 한국 IT 인터넷 기업을 지도 위에 표시하다
2007/03/31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일본에서 활약중인 한국계 인터넷 기업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