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신세대 인터넷 기업의 기수 Hatena는 9월 1일 자사의 핵심 서비스인 "Hatena 다이어리 키워드(인터넷 백과사전인 위키피디아와 유사하나 Hatena 각 서비스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키워드 링크가 특징)"를 새롭게 리뉴얼 오픈, 명칭도 "Hatena 키워드"로 바꾸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atena 다이어리 키워드 특징은 블로그와 블로그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키워드 포함 일기(키워드 페이지 하단에 키워드를 사용한 블로그가 링크됨)"와 인터넷 백과사전으로서 모두가 함께 만들어 나가는 공유 사전으로 사랑을 받아왔다. 이번 리뉴얼로 블로그와 블로그를 연결하는 커뮤니케이션 장소로서의 측면과 편리하게 작성하여 모두가 편집할 수 있는 공유 사전 기능을 강화 하나의 서비스( http://k.hatena.ne.jp )로서 독립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키워드 포함 일기는 키워드를 사용한 블로그의 글을 링크 형식으로 연결하는데 그쳤지만, 이번에 새롭게 선을 보인 "키워드 블로그"는 키워드를 포함한 블로그의 글 일부가 차례로 표시되어, 키워드와 관련된 글을 쓴 블로그 글을 모아서 한꺼번에 읽을 수 있게 되었다.

키워드 블로그는 하나의 블로그를 팀블로그 형식으로 운영하는 것 같은 기분이 들게 하고 또 Hatena 이외의 외부 블로그도 일부 보이게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 리뉴얼에서 가장 흥미로운 기능은 "키워드 인기 블로그"로 최근 폐지된 올블로그의 키워드 챔피언과 유사하게 해당 키워드를 자주 사용하는 인기 블로그를 랭킹 순으로 보여주는 기능으로 최대 50위까지 볼 수 있다.

유저 개인 페이지인 "My 키워드"를 신설, 최근 작성한 최신 글과 편집한 키워드, 자신이 랭킹돼 있는 키워드, 그리고 키워드로 등록은 되어 있지 않지만, 자신이 순위에 올라 있는 단어도 표시돼 키워드를 작성하게끔 유도하기도 한다.

미니 블로그인 Hatena 하이쿠 블로그 위젯이 각 키워드 페이지에 설치되어 있어, 키워드에 대한 간단한 글을 적을 수 있게 되었다.

그 외 Hatena 키워드 페이지를 좋아하는 색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도 추가하였다.

Hatena 키워드의 개편으로 사용성이 편리하여졌고 또 관련 글을 쓰는 유저를 묶어서 연결하여 주는 기능도 보강되었다는 점에서 Hatena 유저는 물론이고 지금까지 Hatena를 사용하지 않았던 유저들도 끌어들일 수 있는 기폭제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2007/06/21 - [한국 인터넷 이야기] - 올블로그의 키워드 챔피언과 Hatena의 키워드 자동 링크

Posted by 오픈검색
,

미국 아마존이 판매하는 전자서적 단말기 "킨들(Kindle)"의 대박이 예상되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애플에 최대의 성공을 가져다준 아이팟의 에코 시스템 "iPod(디바이스) - iTunes(PC) - iTunes Store(웹)",  PC로 다운로드 한 동영상을 볼 수 있는 애플 TV의 에코 시스템 "Apple TV(디바이스) - iTunes(PC) - iTunes Store(웹)"은 물론이고 최근 가장 큰 주목을 받은 아이폰(iPhone)조차도 무선랜 또는 PC를 통해 음악을 전송받는 시스템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처럼 애플의 모든 에코 시스템은 "비()PC"이면서 PC의 개입을 전제로 구축된 반면, 아마존의 킨들은 킨들 자체에서 모든 것을 해결하는 "PC부재(不在)"의 에코 시스템이다.

킨들(디바이스) - Amazon.com(웹)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고속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PC부재의 디바이스로서 킨들은 일본 휴대폰과 유사하다.

"PC부재" 디바이스는 처음부터 수직 통합된 세계이다. iPhone과 킨들 그리고 닌텐도의 게임기도 그렇다,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 그리고 인터넷 서비스까지 모든 것이 수직 통합돼 있다. 이 수직 통합의 완성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수직 통합에 의해 제공되는 에코 시스템은 쾌적한 세계를 만들어, 에코 시스템 안에서 상쾌한 공기가 원활하게 순화하기 시작한다.

이런 수직 통합을 실현하려면 압도적인 "규모"가 필요하다. 서비스에는 스케일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iTunes에 관해서 말하면, 서비스 시작 초기부터 싼 가격대와 압도적인 수의 음악을 준비하였고, 킨들도 아마존의 거대한 온라인 서점이라는 실적을 배경으로, 9만 권이라는 거대한 수의 전자서적이 준비되어 있다. 아무리 좋은 서비스와 멋진 디자인, 우수한 기술을 사용하였다고 해도, 그곳에 물량이 없다면, 서비스는 성공하기 어렵다.

구글이 세계의 웹 사이트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거대한 규모를 구축하였고, "검색된 키워드와 연동한 광고를 표시한다."라는 정보의 체계화를 구축, 그 체계화를 기반으로 새로운 구조를 만들어 내 검색 제국으로 성장하였다.

애플과 구글, 그리고 아마존은 압도적인 규모와 구조를 모두 갖춤으로써 앞으로 오랜 시간 뛰어난 경쟁력으로 세계 시장 위에 군림할 가능성이 크다.


IT 저널리스트 사사키 도시나오씨의메일 매거진
"인터넷 미래 지도 레포트 - 3"
"아마존(Amazon)의 "Kindle"은 왜 성공하였나?
"비()PC"에서 "PC부재(不在)"로의 대전환
"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2008/08/17 - [일본 모바일 서비스 이야기] - 일본 휴대폰 소설 마케팅의 가능성
2008/08/11 - [일본 인터넷 서비스 이야기] - 요리는 인기순이 아니다 - COOKPAD -
2008/08/05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블로그에서 책, 그리고 메일 매거진으로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