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싸이의 울타리에서 안주하던 한국의 유저들이 넓고 넓은 웹세상으로 나와 자신들의  목소리와 생존을 위해, 때로는 혼자서 때로는 마음이 통하는 이웃들과 함께 서바이벌을 펼치고 있는 반면, 2ch과 블로고스피어에서 혼자 힘으로는 견디기 힘든 훨훨 타오르는 거대한 소동을 목격하고  폐쇄적이지만 안전한 울타리가 쳐져 있는 SNS로 옮겨가는 일본의 유저들의 모습을 보면서 모두가 하나로 연결된 웹 세상이지만 나라마다 지역마다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웹 문화는 틀리게 발전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웹진화론의 저자인 우메다씨가 최근에 즐겨 쓰는 서바이벌(급격하게 변화하는 상황 속에서 살아남는 것)을 한국의 블로거들이 몸소 실천에 옮기고, 일본의 유저들은 안전한 울타리 속으로 옮겨가는 현상도 재밌다.

미니홈피 지고 블로그 뜬 이유 (세상을 바꾸는 블로그)

싸이월드 미니홈피의 내용은 싸이월드를 통하지 않는다면 검색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미니홈피 운영자에게 검색의 제한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어차피 미니홈피는 친한 사람을 위한 만남의 장이고, 내가 잘 모르는 사람이 찾아오는 것은 오히려 부담스럽기 때문이죠. 그에 비해 블로그는 기본적으로 열린 구조라 검색을 막아놓지 않는다면 모든 내용이 검색되지요. 많은 블로거는 자신의 블로그가 검색엔진에 잘 노출되어 많은 사람이 찾아오기를 바랍니다.

우리 사회가 점차 지식 중심의 경제로 옮겨가면서, 지식을 얻고 나누고 싶은 욕구는 커졌습니다. 미니홈피는 그러한 욕구를 채우는 데는 매우 부족하죠. 물론 인간이 지식만 나누는 존재는 아니므로 여전히 주변 사람들과 삶을 나누는 장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는 미니홈피가 여전히 유용하고, 따라서 앞으로도 싸이월드 가입자가 크게 주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공유의 정신에 따라 모든 사람에게 정보와 지식을 나누는 블로그는 앞으로도 점차 영향력을 넓히며 과거에 싸이월드처럼 인터넷을 지배하게 될 것입니다.

싸이의 영향력은 아직도 막강하다, 가까운 주변에서 보아도 일본에 있는 한국 주부들은 이웃 한국 주부들과는 물론이고 한국에 있는 가족 친구와도 싸이질로 끊임없이 커뮤니티를 즐기고 있다, 그런 면에서 블로그가 가져다줄 수 없는 안심감과 연대감을 싸이는 충족시켜 주는 것이다.


自己表現のプラットフォームは移り変わる
자기 표현의 플랫폼은 변화한다 (사사키 토시나오)

ブログなんて、しょせんはひとつの表現コンテナー(メディア)に過ぎない。Web2.0の時代において最も大切なのはコンテナーではなく、コンテンツそのものだ。オピニオンや感情を外部に表出したいと思い、それを実行に移すというその行為こそに意味がある。パソコン通信のフォーラムが匿名掲示板に取って代わられ、さらにはブログが流行し、そしてまたSNSの日記やケータイ小説へとコンテナーはさまざまに移り変わっていく。
블로그라는 것은 단지 하나의 표현 컨테이너(미디어)에 지나지 않은다. 웹 2.0 시대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컨테이너가 아니고, 콘텐츠 자체이다. 의견이나 감정을 외부로 표출하고 싶다고 생각해,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행위 그 자체를 의미한다. PC통신의 포럼에서, 익명 게시판(2ch)으로, 그리고 블로그가 유행, 그 뒤로 SNS의 일기와 휴대전화 소설로 컨테이너는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最近GoogleがOpenSocialのというSNSのプラットフォームを発表して話題になったけれども、これはSNSのオープン化にとって大きなターニングポイントとなる可能性がある。世の中のすべてのデータを可視化し、検索可能にしていくのがGoogleのミッションだが、SNSをオープン化し、人間関係情報やコンテンツを異なるSNS間で共有できるOpenSocialの仕組みは、このミッションを補強するものとなる。それは同時に、オープンな言論空間をSNS世界の中に作り出す可能性を生み出す。  
최근 구글이 오픈 소셜이라는 SNS 플랫폼을 발표하여 화제가 되었는데, 그것은 SNS의 개방화라는 커다란 터닝 포인트가 될 가능성이 크다. 세상의 모든 데이터를 정리하여,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구글의 과제이지만, SNS를 개방화하여, 인간관계 정보와 콘텐츠를 서로 다른 SNS간에 공유할 수 있는 오픈 소셜의 구조는 이런 과제을 보강하는 것이 될 것이다. 그것은 동시에 열린 언론 공간을 SNS 세상 안에 만들어 낼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そう考えると、ブログというプラットフォームが徐々に衰退し、SNSに移っていく可能性は十分に考えられる。特に現在のブログのプラットフォームは、コメント欄のノイズを排除しにくい構造になっており、この問題がブログからSNSへの移行を促すことになるかもしれない。しかしこの方向への進化は、まだこれからだ。
그렇게 생각하면, 블로그라는 플랫폼은 서서히 쇠퇴하여, SNS로 옮겨갈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현재의 블로그 플랫폼은 댓글의 노이즈를 배제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이 문제가 블로그로부터 SNS로 옮겨가는 것을 촉진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런 방향의 진화는 지금부터이다.

이대로라면 안전한 울타리 속의 커뮤니티를 찾아 옮겨간 일본의 유저들로서는 오픈된 SNS 시대를 맞이하게 된다는 이야기인데, 그렇다면 그다음 컨테이너가 될 수 있는 서비스를 어떤 것이 될지 궁금하다.

다양성이 공존하는 일본 사회와 마찬가지로 웹세상도, 익명으로 거친 커뮤니티를 나누는 2ch, 개방된 세상에서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블로고스피어, 폐쇄적이지만 자신들의 네트워크 속에서 안전한 커뮤니티를 추구하는 SNS, 마지막으로 10대를 중심으로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커뮤니티등이 공존하면서 발전하여 나갈 것 같다.

한국은 2008년에도 여전히 블로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다양한 시도가 펼쳐지리라 생각되나 네이버 블로그로 대표되는 포털 블로그의 폐쇄성과 한계성은 한국 블로고스피어의 확대를 저해하리라 생각된다. 그에 대하여 티스토리 등의 블로그 전문 사이트와 개인 블로그들이 얼마나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어 내고, 이를 메타 블로그가 확대 생산하고, 구글과 같은 인간의 손이 더해지지 않은 평등한 평가 기준에 의해 사용자가까지 정확한 정보가 다다른다면 희망적이지 않을까.

한국과 일본과는 다르게 기존 룰에 상관없이 창조와 파괴를 거듭하면 끊임없이 핵분열을 거듭하며 거대해져 가는 미국의 인터넷 기업과 문화는 어느 시점에서는 전 세계를 뒤덮고, 한동안 여의치 않았던 아시아의 삼국,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마저도 삼켜버릴지 모르겠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공평한 검색, 열린 검색을 위한 오픈 소스 검색엔진 프로젝트 너치(nutch)프로젝트의
활약도 기대해 본다.


2007/11/27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일본 블로고스피어 "블로그 한계론" 소동

 

Posted by 오픈검색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 고교생 중 90%가 휴대전화를 이용하고 있고, 고교생 대부분이 휴대전화를 이용한 인터넷 이용이 생활화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일본에서 인터넷 서비스를 운영하고자 한다면 그네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점은 무척 중요하다고 보인다, 이번 netasia에서 조사한 "뉴제네레이션 세대에게 있어서의 휴대전화는?(ニュージェネレーション世代における携帯電話とは?)"은 많은 참고가 되지 않을까 싶다.

現在の高校生がケータイを持ち始めたときには、iモードサービスは既に開始され、ケータイでのネット利用が当たり前の世代となっています。また、ケータイの新しいカルチャーや利用の最先端の世代となっており、ケータイのニュージェネレーションと呼べるパワーも持ち合わせているといえます。ネットエイジアでは、この点に着目し、15歳~18歳の高校生ケータイユーザーに対し、調査を実施、1000名の回答を集計しました。
지금의 고교생이 휴대전화를 가지기 시작하였을 때는 i-모드 서비스가 이미 시작되어, 휴대전화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은 당연한 세대였다. 또 휴대전화의 새로운 문화와 이용의 최첨단 세대로서 휴대전화의 뉴제네레이션으로 불리는 파워도 함께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netasia는 이 점에 착안하여 15세부터 18세의 고교생 휴대전화 유저에 대한 조사를 진행, 1,000명의 회답을 집계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의 고교생이 10살이었던 1999년 2월 2일 i-모드 서비스가 스타트하였다.

휴대전화가 생활의 중심, 패션의 일부가 되었으며, TV와 음악 재생기로서의 기능까지 대신하는 가운데, 고교생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인터넷 이용은 매일 이용하는 비율이 80% 이상이며 1일 5회 이상 이용하는 비율은 55%에 달하였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SNS에 대해서는 PC의 대표적 SNS인 "mixi"에 대해서는 56.9%가 인지하고 있었으나 이용률은 14%에 그쳤지만, 모바일의 대표적 SNS인 "모바게타운"에 대해서는 47.6%가 이용하고 있다.

모바게타운의 이용형태를 보면 게임 이용이 가장 높고(87.4%), 휴대전화 소설(27.7%), SNS(22,3%), 데코레이션 메일(10.7%) 순으로 이어졌다.

자신의 신상 명세를 올리는 프로필 사이트 "푸로후"의 경우 여자 고교생은 38,8%가 이용하는 반면, 남자 고교생은 16,9%가 이용하고 있으며, 상대에 따라 다른 푸로후를 사용하는 고교생도 30.8% 달하였다.

휴대전화로 주로 이용하는 모바일 콘텐츠는 이미지와 동영상 투고 사이트(47.8%), 휴대전화 소설(37.8%), 가수의 프로모션 동영상(23.7%), 지상파 디지털 TV(18.7%), 사전(18.5%)이었다.

휴대전화를 통한 검색 이용률은 놀랍게도 97.9%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용 사이트로는 야후, 구글, i-mode(NTT도코모), CROOZ!,  FROUTE 순으로 이용하고 있다.

주목되는 것은 자신이 아는 재미있는 서비스를 휴대전화로 소개하는 비율이 50%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휴대전화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면서 커뮤니티를 활성화하는 뉴제네레이션 세대에 의해서 새로운 정보 문화가 창출되고, 정보전달이 이루어지면서 새로운 히트 상품과 사회적 현상이 창조되고 있다.

인터넷 문화가 PC 중심에서 모바일 특히 휴대전화 중심으로 옮겨가는 일본의 인터넷 문화를 고려하면서 그 중심에 있는 고교생들의 이런 문화도 늘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할 것 같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