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보물에서 세계의 보물이 된 "Ruby", 그 황금알을 낳는 Ruby를 품은 라쿠텐(Rukuten)이 세계적 인터넷 기업을 향해 도전장을 던졌다.

올해 들어 라쿠텐의 Ruby 사랑과 이용(?)은 절정에 달하고 있다.

라쿠텐은 3월 15일 웹 서비스 개발 프레임워크를 "Ruby on Rails"로 바꾸면서, "Ruby 프로젝트팀"을 구성, Ruby를 만든 마츠모토씨가 근무하였던 네트워크 응용 통신연구소(NaCI)와 공동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후 6월 1일 마츠모토씨가 전격적으로 라쿠텐의 선임 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기게 된다.

옮기게 된 주된 이유로써 1.라쿠텐이 최초로 본격적인 제의를 하였다는 점, 2.Ruby 개발 등 오픈소스 활동에 전혀 제한을 두지 않겠다는 점, 3.상호 보완적으로 마츠모토씨는 프로그래밍 언어와 오픈소스에 관련된 풍부한 경험, 지명도,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고 라쿠텐은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개발과 대규모 트랙픽과 데이터, 그리고 비즈니스 면에서의 지명도와 네트워크 등을 갖추고 있다는 것과 돈!, 마지막으로 일본에서 세계로의 원대한 라쿠텐의 포부가 담겨 있다고 점을 들었다.

이번 10주년 기념 "라쿠텐 테크놀러지 콘퍼런스 2007"에서 발표 된 내용은 바로 마지막 부분, 일본에서 세계로 뻗어나가려고 하는 라쿠텐의 원대한 포부를 세상에 공표하는 자리가 아니었나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출처 atmarkIT

마츠모토씨가 발표한 "대규모 분산 처리 기반"은 미국의 글로벌 인터넷 기업인 Google, Yahoo, Amazon 등이 대규모 트랙픽에 대응하고자 데이터센터의 신뢰성, 가용성, 성능 등을 확보하고자 급피치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로, 대규모 분산 처리 기반은 또 다른 말로 "웹 OS"로 지칭되면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하는데, 라쿠텐으로서는 아직은 연구 개발 단계에 있지만 대내외적으로 라쿠텐이 글로벌 인터넷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자리가 되었다고 보인다.

라쿠텐의 대규모 분산 처리 기반은 Roma(대규모 분산 스토리지 기술인 구글의 GFS, 야후의 Hadoop, 아마존의 Dynamo와 유사)와  Fairy(대규모 병렬 처리 기술로 구글의 MapReduce와 유사)로 구성돼 있다.

화려함 속에 빈곤이라고 실증이 안된 연구단계에서 얼굴 마담으로서의 이용가치가 큰 마츠모토씨를 앞세운 점을 보면, 기술보다는 비즈니스 면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라쿠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라쿠텐은 현재 1,000여명(관련 회사 포함)의 연구 인력을 앞으로 3년 이내에 3,000명까지 늘린다고 한다.

2007/05/31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Ruby 개발자가 라쿠텐에 간 이유는?
Posted by 오픈검색
,

일본의 블로고스피어를 이끌고 있다고 자부하던 일부 알파(파워)블로거들이 자가당착에 빠져 소동이 벌어졌고, 잠시나마 자신들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블로그 본래의 개인 미디어로서의 기능과 커뮤니티성 보다는 상업적으로 악용하기 위한 스팸성 블로그, 스팸 트랙백 등 밝은 면보다는 어두운 면이 더욱 득세를 하는 현재의 상태를 두고 경계론적인 관점에서 "블로그 한계론"이라는 주제로 RTC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공지를 하였는데, 일부 블로거들이 무슨 근거로 현재의 블로고스피어가 재미가 없고, 한계에 달했다는 결론이 나왔는지에 대한 강한 불만을 표시하였다.

공지문을 작성한 블로거는 블로그의 효용성을 일찍 깨닫고 열심히 블로그를 운영하던 알파 블로거가 갈수록 늘어나는 수많은 노이즈와 쓰레기 속에서 의욕을 상실하고 블로깅을 게을리하게 되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음을 들어 블로고스피어가 정체되고 재미가 없어졌다고 공지문에는 적었다.

그러나 다른 블로거들의 의견은 달랐다, 과거에는 IT에 강한 일부 알파 블로거들의 글이 주로 인기를 끌었지만, 지금은 저변이 확대되어 일상생활이나 취미 생활을 재미있게 꾸며 나가는 인기 블로그도 많이 등장하여 오히려 초창기보다 더욱 재미있고 읽을거리도 많아졌다는 반응이다.

결국, 공지문을 올린 블로거가 자신의 블로그에 사과의 글을 올림으로써 소동은 진정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일이 초래된 원인은 자신들의 판단 기준으로 세상을 보려 한 편견에서 시작되지 않았나 싶다, 남들보다 한발 앞서나가는 자신들이 재미를 잃은 블로고스피어는 다른 블로거들도 당연히 재미를 잃고 한계에 달하였으리라고 생각이 앞섰기에 그런 생각을 하게 되었겠지만, 현실은 블로고스피어가 확대되고, 일반 블로거들은 착실하게 성장하여 초창기보다 풍부한 장르의 재미있는 글들이 꾸준히 생산 그리고 소비되고 있다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현재 일본의 블로고스피어에서는 2007년 알파 블로거 어워드가 개최되고 있다, 추천 블로그들은 보면 과거 알파 블로거 어워드에 뽑혔던 일부 분야에 한정되었던 블로그들보다 훨씬 넓은 분야의 다양한 블로그들이 올라와 있는 것이 눈에 띈다.

한국도 그렇지만 일본의 블로고스피어도 꾸준하게 성장, 확대되고 있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