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는 한국에서 오신 젊은 두 분의 손님과 함께 일본의 역사가 담긴 우에노공원 주변을 거닐고 무더위를 식히고자 한 잔의 생맥주를 기울였다.

블로그를 통해서 알게 된 분들을 가끔 현실계에서 만나 뵙게 되는데, 어제는 그동안 만나 오던 분들 중에서는 가장 젊으신 분들이 아닌가 싶다.

일본에서 살게 되면서 변명 아닌 변명이지만 한국의 기념일들이 쉽게 다가오지 않는다, 아무래도 자신의 무관심도 있겠지만, 살아가는 주변환경이 그런 부분에 대해 둔감하게 만드는지 모르겠다, 다만 인터넷이라는 문명의 이기를 통해 그나마 늘 한국과 연결이 되어 있기에 하루  하루 조금씩 자신에게 자극을 주면서 살아갈 수 있는지 모르겠다.

남자 셋이 모이면 뻔한 주제로 넘어가는 게 보통이겠지만 어제는 모두가 미래를 향해 무한한 꿈을 지닌 젊은이(?)들의 만남이었기에 뜻깊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었지 않나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 한국에 올라온 광복절 기념 로고

내일이 광복절이라는 사실을 서로 주고받은 것은 아니지만 자연스럽게 한국과 일본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로 흘러갔다.

두 분 다 컴퓨터와는 어렸을 때부터 인생의 동반자처럼 붙어 지냈던 분으로, 일본의 문화와도 만화나 애니메이션으로 자연스럽게 접해 왔고 일본도 자주 오는 분들이라 내가 지금까지 겪었던 10여 년의 일본 생활에 비해 절대 뒤지지 않는 일본에 견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기에 더욱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흘러 가지 않았나 싶다.

무엇보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에서 개개인에 의한 교류가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가깝고도 먼나라"라는 말이 더는 양국을 표현하는 적절한  말이 안 되게, 많은 교류를 통해 학교나 책에서 배운 것이 양국의 전부가 아님을 인식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모르면서 무조건 비판하기보다는 서로 장단점을 알고, 또 이해하려고 노력한다면 보다 나은 관계로서 서로 이익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지금 한창 자라나는 새싹들에는 과거의 불행했던 역사보다는 더욱 성숙한 관계의 미래를 향해 힘찬 전진을 하길 바라는 마음이다.

기회가 될때 마다 울려 퍼지는 우리의 뜨거운 외침은 일본의 무관심 속에서 공허하게 울려 퍼지는 일의 연속이다. 

물론 그런 노력의 결과로 세상의 시각이 조금씩 바뀌고 있지만 더욱 많은 시간을 우리 대한민국의 힘을 키우는 데, 그리고 무엇보다 내부적으로 단합된 한국을 만들어 나가는 데 힘을 쏟아서 일본 이상의 강대국으로 성장시키는 게 결국은 한국과 일본이라는 두 개성 강한 나라가 유대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좀 더 나은 방법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한국민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두뇌를 가진 인재들로 넘치고 있다고 하지 않는가, 그리고 일본은 남의 것을 모방해서 더욱 우수한 문화를 일구어 내는 데 독특한 재능을 가지고 있고 무던히도 연구하고 개선하는 지구력에서는 타의 추종을 허락하지 않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은가.

하루빨리 이런 양국의 자원을 보다 유용하게 이용하는 기지를 발휘하여, 한일 양국의 발전은 물론 한반도의 통일을 앞당기는 코리아의 힘을 길러야 하지 않을까 하는 조바심도 든다.

어제 만난 두 분은 현재 올유저닷넷이라는 벤처기업을 운영 중에 있으며, 앞으로 한국과 일본은 물론이고 세계인들이 즐겁게 애용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고 한다.

한국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이런 분들이 한일 양국의 문화를 알고 한국과 일본에서 모두가 즐길 수 있는 서비스를 오픈하면서 양국의 젊은 리더들이 자연스럽게 함께 교류하면서 경쟁할 수 있다면 어느덧 62주년을 맞이한 광복절이 더욱 뜻깊은 의미가 있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Posted by 오픈검색
,

모바일 콘텐츠업계의 거인으로 성장하고 있는 모바게타운은 7월 말 현재 600만의 회원과 페이지뷰 107억/월을 기록하며 타사의 추격을 멀찌감치 뿌리치고 일인 독주체제로 들어서 있다.

일본 휴대전화 SNS(소셜 네트웍 서비스)시장은 선두주자인 모바게타운이 무료 게임, 아바타 등의 도입으로 성공하자, PC SNS의 강자인 GREEmixi도 모바일 서비스에 게임과 아바타의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처럼 앞다투어 게임과 아바타를 융합한 커뮤니티 사이트를 모바일 시장에 도입하고 있는 일본 모바일 콘텐츠 업체들이지만 그들이 모범 표본으로 삼는 사이트는 다름 아닌 NHN Japan이 운영하는 게임 포털 "한게임 재팬"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롭게 개편된 한게임 재팬

한게임 재팬은 2000년도에 오픈하여 10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어 회원 수 2,000만, 최대 동시 접속자 수 12만 명을 넘어선 매머드급 게임 포털 사이트이다.

“モバゲーの手本”ハンゲームに聞く、アバター仮想世界の作り方
“모바게타운의 모범” 한게임에게 듣다, 아바타 가상 세계를 만드는 방법
韓国NHNが1999年12月、チャットもできる無料ゲームポータルとして「Hangame」をスタート。ネット黎明期だった韓国で「ネットだからこそ価値が出るものは何だろう」と考えた結果が、コミュニティーとゲームの組み合わせだったという。
한국 NHN이 1999년 12월 채팅도 되는 무료 게임 포털로서 “한게임”을 오픈. 인터넷 여명기였던 한국에서 “인터넷이므로 빛을 발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를 심사숙고한 결과, 커뮤니티와 게임의 조합이었다.

韓国では、アバターアイテムよりもゲームを有利に進めるためのゲームアイテムの方がよく売れるという。韓国人は勝負重視で、仲良くプレイすることよりも、相手を負かすことを最優先するためだ。
한국에서는 아바타 아이템보다는 게임을 유리하게 이끌 수 있는 게임 아이템이 잘 팔리고 있다. 한국인은 승부 중시로 사이좋게 플레이하는 것보다는 상대를 쓰러트리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韓国のシステムをそのまま移植する形で200011月に日本に進出したが、日本ではアバターアイテムがよく売れている。日本人はコミュニケーション重視。勝ち負けよりも、時には手加減しながら楽しくプレイすることを楽しむ人が多いためという
한국의 시스템을 그대로 이식하는 형태로 2000년 11월에 일본에 진출하였지만, 일본에서는 아바타 아이템이 잘 팔렸다. 일본인은 커뮤니케이션 중시. 승부보다는 때로는 양보도 하면서 즐겁게 플레이 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アバターのさりげない自己主張も、日本人に合っている。「韓国人や米国人は、自分の写真や本名をネットに掲載したり、書き込みを積極的にするなど自己主張が強いが、日本人だと恥ずかしがったり遠慮して、ネット上でも自己主張しない人が多い。アバターならさりげなく自己アピールできる」
아바타의 있는 듯 없는 듯한 자기주장이 일본인과 잘 어울린다. “한국인이나 미국인은 자신의 사진과 본명을 인터넷 상에 올리고 글쓰기를 적극적으로 하는 등 자기표현이 강하지만, 일본인은 부끄럼이 많고 양보하는, 인터넷 상에서도 자기주장을 하지 않은 사람이 많다. 아바타라면 티를 안 내고 자기를 표현할 수 있다.

「ユーザーは“場の価値”にお金を払う。平和で仲良くしたいと思える場を作り、『他人に良く見られたい』という気持ちにさせることが必要。山奥や戦場ではアバターは売れない」
「유저는 "장소의 가치"에 돈을 지급한다. 평화롭게 사이좋게 살 수 있는 장소를 만들고 ," 타인에게 잘 보이고 싶다."라는 마음이 들게 하는 게 필요. 산속이나 전쟁터에서 아바타는 팔리지 않는다」

最近の中高生は、携帯電話向けのモバゲータウンやEZ GREEでアバターやゲームを楽しんでいる。ハンゲームは携帯向けサービスをまだ本格化していないが「そろそろ携帯にも本腰を入れたい」
최근 중고등학생은 휴대전화의 모바게타운이나 EZ GREE에서 아바타와 게임을 즐기고 있다. 한게임은 휴대전화용 서비스를 아직 본격적으로 진행하고 있지 않지만 “슬 슬 휴대전화에도 본격적으로 힘을 쏟고자 한다.”

PC의 게임포털에서는 한게임 재팬이 스승이었을지 모르나, PC와는 또 다른 인터넷 세상을 구축하고 있는 모바일 인터넷 세상에서는 모바게타운이 한게임 재팬의 모범 답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한게임 재팬이 최근에 새롭게 개편을 하였다고 하는데 Nmind님의 블로그에서 상세하고 볼수 있을 것 같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