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NTT 도코모의 i모드를 통해 휴대전화 인터넷 세상을 활짝 연 일본의 휴대전화 인터넷 비즈니스 시장이 2007년 중에 1조 엔까지 시장이 확대된다고 한다.

일본의 총무성 조사에 의하면 휴대전화 비즈니스 시장은 젊은 층의 휴대전화 인터넷 사용의 증가와 통신속도 고속화, 요금의 정액제 등이 더해져 매년 30% 이상의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2002년 2,986억 엔이었던 휴대전화 인터넷 비즈니스 시장은 2006년 말에는 9,285억 엔까지 확대, 4년간 3배 이상 급속하게 성장하였다.

9,285억 엔의 내용을 살펴보면 음악, 게임, 사진 등을 서비스하는 모바일 콘텐츠 시장이 전년 대비 16.2% 증가한 3,661억엔, 휴대전화 인터넷을 통한 상품이나 티켓의 구매 그리고 주식 거래, 옥션 등 모바일 상거래 시장이 38% 증가한 5,624억 엔에 달하였다.

2006년 세계 휴대전화 점유율(툴제공:엑스챠트)

2006년 상반기 일본 휴대전화 시장 점유율(툴제공:엑스챠트)

최근 삼성의 슬림폰을 비롯하여 LG전자의 초콜릿폰등 한국의 휴대전화가 점차 일본 시장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하고 있는데, 콘텐츠 분야에 있어서도 PC 인터넷 분야뿐만 아니라 거대 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는 휴대전화 인터넷 분야의 시장 진입에 대해서도 지금부터라도 착실하게 준비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tion Portrait”은 한 장의 사진으로부터 자동으로 3차원 모델을 생성하여, 다양한 표정의 애니메이션을 자동으로 만들어 내는 기술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인 페이지의 안내대에 가서 벨을 누르면 인사를 하고, 벨을 연속으로 누르면 화를 내며, 얼굴을 중심으로 마우스를 정신없이 돌리면 눈이 어지럽다고 귀엽게 말을 한다.

Motion Portrait는 3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 번째는 독자적인 모션 포트레이트 엔진을 이용 한 장의 사진을 바로 3차원 CG로 변환, 입체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낸다, 두 번째는 유저의 행동(마우스를 조작, 버튼을 누름, 터치 펜, 음성)에 대해 바로 반응을 하며 PC 이외에 휴대전화에서도 이용할 수 있다. 세 번째는 놀라울 정도의 자연스런 표정 애니메이션이 가능하며 다양한 표정을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만들어진 이미지에 다양한 효과를 줄 수가 있으며 다양한 소재들을 3차원 입체 애니메이션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각종 디바이스(PC, TV, 휴대용 게임기, 휴대전화)에서 사용이 가능한 mp

앞으로 예상되는 비즈니스 모델로서 예를 든 것을 살펴보면

BtoC분야
모바일:휴대폰으로 찍은 사진을 바로 3차원 모델로 만들어 대기화면이나 메일로 발송
게임:게임상의 캐릭터 얼굴을 자신을 얼굴로 교체
웹:블로그 액세서리와 아바타 등으로써 자신의 3차원 CG 이용이 가능

BtoB분야
안경점 화장품회사 사진점 미용실 등에서 활약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웹서비스를 설명하는 가이드 역할이나, 웹상의 박물관이나 전시장의 안내 그리고 자동차의 내비게이션 등에서의 활약을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