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을 대표하는 전자기업 삼성과 LG가 나란히 일본의 휴대전화 시장에서 본격적인 시장 구축에 들어간 상태에서 LG는 고급 세탁기를 출시하였고, 이번에 삼성전자에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며, 전 세계 TV시장 점유율 1위에 막대한 공헌을 한 보르드TV를 상륙시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르드 플러스(출처:삼성 재팬 직판 사이트)

7월27일 발표된 내용
으로 조금 철 지난 소식이지만, 한국의 대표 기업들이 일본 시장에 대해 본격적으로 문을 두드리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는 하나의 좋은 예로 생각된다.

그동안 일본 제품에 비해 디자인 면이나 성능 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면이 있었고, 일본의 독특한 유통시장의 복잡함, 그리고 한국 제품에 대한 저가 이미지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은 한국 기업들, 그 위에 경쟁상대인 일본의 전자제품 업체들이 과거 자신들에게 기술을 이전하여 준 선배 기업들이고 또 현재는 같은 그룹 계열사인 LCD패널회사와 반도체회사의 주요 고객이기도 한 점이 본격적인 일본 시장 진출을 꺼리게 한 이유로 거론이 되고 있다.

여러 이유가 거론이 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최우선 과제로 이윤을 추구하는 영리 기업으로서 투자대비 이익이 남지 않은 사업을 처음부터 할 필요성이 없듯이, 이번 삼성과 LG의 경우 일본 시장에서 자사 제품이 충분히 시장 경쟁력을 갖추었고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였기에 본격적으로 일본 시장을 두드리고 있지 않나 싶다.

전 세계적으로도 최첨단 휴대전화 기업의 이미지를 업고 시장 점유율을 넓혀 왔듯이 일본 시장에서도 그와 같은 전략이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 지켜볼 재미는 많이 있을듯싶다.

다만, 아쉬운 것은 노출도를 많이 올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투자 대비 소득이 낮을지 모르겠지만 한국 기업의 오랜 숙원인 일본 시장의 특수성을 생각한다면 상징성은 그 어떤 시장보다 크리라 생각된다.

와인 잔이 넘칠 것 같은 물량 공세로 일본 TV의 골든타임을 점거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보르드 플러스(출처:삼성 재팬 직판 사이트)

이번에 출시 되는 제품은 40인치(직판 가격:168,000엔), 32인치(직판 가격:99,800엔), 23인치(69,800엔)이다.

링크
삼성 재팬의 직판 사이트 http://directshop.samsung.co.jp/

관련글
LG전자 초콜릿폰으로 일본시장 본격 진출
Posted by 오픈검색
,

일본의 인터넷 업계에서 종종 거론되는 "구글 하치부(Google八分)"란 "무라 하치부(村八分:마을의 규칙을 어긴 집안을 마을 전체가 합심해서 왕따 하는 것)"에서 유래한 말로 전 세계적으로 검색제국을 구축한 구글이 특정 사이트를 자사의 검색 결과에 표시되지 않게 하는 것을 지칭한다.

구글 하치부에는 제3자의 의뢰에 의해서 삭제되는 경우와 구글 검색에 악영향을 끼치는 스팸 사이트라고 판단되었을 때 삭제되는 두 종류가 있다.

구글의 시장 독점력이 강해질수록 구글 하치부에 따른 기업 또는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강력해져 구글에서 검색이 안 되면 인터넷에 존재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 결과가 된다.

이번 7월31일 발표된 2007년도 제2기 미답 소프트웨어 창조사업에 뽑힌 “구글 하치부 발견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는 구글 하치부의 영향으로 구글 검색에서 삭제된 사이트를 찾아내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을 개발한 엔지니어는 악덕 상행위를 고발하는 사이트 “악덕 상법 매니악스”를 운영하다가 구글 하치부가 적용되어 사이트가 구글에 의해서 검색이 안 되고 있는 상황을 맞이하는 경험도 하였다.

그 후  악덕 상행위의 하나로 구글 하치부를 꾸준히 거론했고 구글 하치부를 파헤치는 “구글 하치부 대책 센터”를 운영하면서 “구글 하치부란 무엇인가?( グーグル八分とは何か)”라는 책을 최근에 출간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구글의 기술력에 대응하여 이에는 이라고 기술에는 기술이라는 관점에서 구글의 검색 기술을 감시하고 측정하는 “구글 하치부 발견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구상하게 되었다고 개발자는 밝혔다.

"Don't be evil"의 현실은
グーグルは、その圧倒的な資金力と収益力、そして市場独占力によって、ネットの言論を支配し批判を封じ込めています
구글은 압도적인 자금력과 수익력, 그리고 시장 독점력에 의해, 인터넷의 언론을 지배하고 비판을 봉쇄하고 있습니다.(“구글 하치부란 무엇인가?”에서)

애드센스의 일방적 중지와 지불 정지, 그리고 영리기업으로써 검색 결과에 대한 불투명성은 앞으로 구글의 지속적 성장 또는 현재의 지위를 유지하는데 커다란 아킬레스건으로 작용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출처
祝!未踏ソフトウェア創造事業に採択されました
축! 미답 소프트웨어 창조사업에 채택되었습니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