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 포털들의 블로그검색 참여는 물론 세계 최대의 블로그 전문 검색 서비스인 Technorati의 진출, 그리고 일본 토종 블로그 전문 검색 서비스인 NAMAANKizasi, blogWatcher등이 활약중인 일본의 블로그검색계에 새로운 블로그 전문 검색 서비스가 등장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저와 사이트의 연결은 물론 사이트와 사이트를 연결하는 블로그 전문 검색 서비스 "Linkster"이다.

특징을 보면

国内の主要ブログサービスを中心に、一日あたり35万件前後のブログ記事を収集しています
국내의 주요 블로그 서비스를 중심으로 일일 35만건 전후의 블로그 기사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検索結果部分には、検索ワードの周辺に出現するワードを用いて簡単に再検索を行うための、ARAS (Auto Recommend And Search) 機能を搭載しています。これは、検索結果の文中に含まれるワードに自動的にリンクをつけて、ユーザがスムースに関連する情報にアクセスするための機能です。今後の改善で、より関連性の強いワードが推奨されるようになります
검색 결과 부분에는 검색 키워드의 주변에 출현하는 키워드를 가지고 간단하게 재검색이 가능하도록, ARAS(Auto Recommend And Search)기능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검색결과의 문장중에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에 자동적으로 링크를 달아서, 유저가 편리하게 관련되는 정보에 접근할수 있는 기능입니다. 앞으로 개선을 통해 보다 관련성이 높은 키워드가 추천되도록 할 예정입니다.

『Linkster (リンクスター) 』は“つながる検索”と銘打っています。これは、多くのサーチエンジンがサーチエンジン側の都合や基準で検索結果を表示するのに対して、『Linkster (リンクスター) 』はより多くのユーザの意思を介在させてユーザとサイトをつなぐだけでなく、サイトとサイトをつなぐ新しい検索の形を目指しているためです
"Linkster(링크스타)"는 "연결되는 검색"이라고 명명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많은 검색엔진이 검색엔진측의 상황과 기준에서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것에 비해서, "Linkster"는 보다 많은 유저의 의사를 채택하여서 유저와 사이트를 연결하는것 뿐만 아니라, 사이트와 사이트를 연결하는 새로운 검색 형태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외에도 야후 검색의 이미지 검색 API를 이용해서 키워드 관련 이미지를 검색 결과 페이지의 오른쪽에 표시하는 기능도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욘사마(ヨン様)검색 결과
관련 키워드(배용준, 키이스트, 권상우등)에 링크가 걸렸고,
오른쪽에는 이미지가 표시

아직까지는 검색하는데 시간이 한참 걸리고, 검색 결과도 타 서비스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향후 위의 새로운 시도들이 어떤 형태로 정립되고 발전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국에서도 최근에 RSS기반의 검색 서비스인 "나루"가 시연회를 가졌고, 이번 "Linkster"와 비슷한 컨셉의 커뮤니티 검색을 표방하는 "Blogreader"도 준비중에 있으므로 한일 젊은 블로그 검색들의 선의의 경쟁이 2007년에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벌어지는 느낌이다.


관련글
블로그를 통해 최적의 검색 결과를 뽑아내는 일본의 블로그검색들...
블로그를 통해 세상의 움직임을 읽는 검색엔진 "Kizasi"
일본의 블로그 검색 이용 랭킹과 블로그의 검색엔진 최적화
Posted by 오픈검색
,

일본의 웹2.0 대표기업인 mixi(ミクシィ)가 최근 급성장에 브레이크가 걸리면서 열기가 한풀 꺽였고, 그뒤를 이어서 블로그 관련 솔루션 제작과 블로그검색, RSS리더등의 개발등으로 웹2.0을 리드하며 신세대 벤처 기업으로서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상장에 성공, 한때는 천억엔의 기업 가치를 자랑하던 DRECOM(ドリコム)도 새로운 수익모델의 부재등으로 하향세를 기록하며 최근에는 150억엔까지 기업 가치가 떨어지면서 끝없는 추락을 하고 있다.

mixi와 DRECOM, 양사 모두 웹2.0이라는 새로운 인터넷 비지니스 모델에 가장 근접한 회사라는 뜨거운 찬사와 함께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화려하게 상장, 믹시는 2,000억엔, 도리코무는 1,000억엔의 가치를 인정 받았으나, 그후 달아 올랐던 버블 분위기는 식고, 냉정한 시각에서 양사의 현재의 모습과 실적을 토대로 판단하였을때 거리감이 있는 부풀려진 기업 가치, 그리고 향후 미래의 수익 모델 창출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의 대두로 떨어지기 시작한 양사의 기업 가치는 믹시는 현재 1,400억엔대, 도리코무는 150억엔대의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다.

10일 발표된 뉴스는 DRECOM의 실적에 관련한 뉴스는 이와 같은 흐름을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될거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DRECOM의 1년간 주가 동향

ドリコム、2007年3月期赤字転落へ--営業不振で売上高は従来予想の6割
도리코무, 2007년3월기 적자로 전락, 영업부진으로 매출은 기존 예상의 60%
원인으로서 블로그 관련 대형 수주의 실패와 영업 부진

도리코무의 추락은 믹시로서는 먼곳의 남의 일이 아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mixi의 1년간 주가 동향

mixiの黄金時代が静かに終わりを告げました
mixi의 황금시대가 조용하게 막을 내렸다
원인으로서 회원 증가의 정체와 수익 모델의 계속되는 실패

웹2.0의 대표적인 기업으로 추앙받던 두기업의 추락은 최근 라이브도어의 사장이었던 호리에씨의 유죄판결 여파와 함께 일본의 인터넷 산업 전반에 걸쳐서 악영향을 주므로서 2007년 봄기운과 함께 기지개를 힘껏 펼칠려고 했던 신생 웹2.0기업들에게는 우울한 소식이 아닌가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야후 ! 재팬의 1년간의 주간 동향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