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이용률 조사 회사인 넷레이팅즈(NetRatings)는 일본 휴대폰 이용자의 모바일(휴대폰) 웹 사이트의 이용률 조사를 시작하여, 6월 30일부터 조사 보고서를 제공한다고 5월 14일 발표하였다.


넷레이팅즈는 지금까지 PC 기반의 웹 사이트 이용률 정보를 제공했지만, 갈수록 커지는 모바일(휴대폰) 웹 시장의 규모와 이용자수의 증가와 함께 이용률 조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모바일 웹 사이트 이용률 조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번 모바일(휴대폰) 웹 사이트 이용 동향 조사 서비스 "Keitai View 모바일 이용자 행동 이력 서비스"는 휴대폰 유저가 실제로 모바일 웹 사이트에 접속한 기록을 토대로 집계된다.

휴대폰 유저가 실제로 방문한 웹 사이트의 이용 상황(도달률%, 페이지뷰, 체재시간 등)과 웹 사이트별 이용자 속성(성별, 연령, 세대 소득, 학력, 직업)을 웹 사이트 카테고리별로 매월 데이터를 갱신하여 보고하다.

또한, 이번 서비스 패널로서 참가하는 유저는 자신이 일상적으로 소유하고 사용하는 상품명(브랜드명), 신문, 잡지, TV 등 다른 미디어와의 접촉 상황 등의 생활스타일에 관한 200항목의 앙케트도 실시하여 데이터를 작성함으로써 휴대폰 마케팅 전반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써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서비스 초기에는 NTT도코모 휴대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집계를 시작, 점차 조사 대상자를 넓혀나갈 예정이며, 6월에 제공하는 첫 보고서는 2,000명의 패널 중에서 유효답변을 얻은 430명의 접속기록과 앙케트 내용을 토대로 한 보고서를 제공하며, 연말까지는 유효 패널수를 3,000명까지 늘려나갈 예정이다.

"Keitai View 모바일 이용자 행동 이력 서비스"의 월 이용 요금은 30만 엔이다.

같은 날 넷레이팅즈의 경쟁회사인 비디오 리서치 인터랙티브는 모바일 인터넷 시청 데이터를 발표하였다.

이제 막 시작된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 조사이지만, 앞으로 모바일 웹의 현황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자료로서 두 조사 회사의 자료가 활용될 수 있을 것 같다.

일본과 비슷한 유무선 인프라와 단말기가 보급한 우리나라에서도 서서히 모바일 웹 사이트 이용해 대한 본격적인 데이터 조사가 필요로 하지 않을까 싶다.

2009년 4월 현재 일본 휴대폰 가입수는 1억 784만, 그중에서 3세대 휴대폰은 1억대를 넘어섰으며, 인터넷 이용 계약자는 9천 136만명에 달하고 있다.

한편, 모바일 콘텐츠 시장은 매년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2007년에 4,233억 엔을 기록, 모바일 상거래 시장은 7,231억 엔 규모를 기록하였다.


2008/08/21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2007년 일본 전자상거래 시장
2008/01/28 - [일본 인터넷 서비스 이야기] - 인터넷 시청률을 조사하는 Pathtraq
2007/12/02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Web 2.0 EXPO Tokyo] 모바일 리서치(netasia)편
2007/08/15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일본의 소셜북마크 서비스별 이용률

Posted by 오픈검색
,

웹상에 흩어져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하나의 그래프로 엮어서 전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FILLMORE ADVISORY가 새롭게 선보인 vizoo는 웹에서 데이터를 검색하여 검색된 데이터를 따로 작업할 필요없이 바로 그래프에 적용하여 그래프를 작성하고 공유하는 서비스이다.

 
일본 자동차 업계의 평균 연봉
(왼쪽부터 도요타, 혼다, 닛산, 이스즈, 스즈키, 스바루, 다이하츠, 미쓰비시)

vizoo는 기업의 재무제표와 주가, 경제지표 등의 데이터를 간단히 검색하여 그래픽컬하게 분석, 분석된 자료를 플래시의 그래픽 콘텐츠로서 유튜브와 같이 웹에서 바로 작성하고 공유할 수 있으며, 또 블로그나 사이트에 간단히 붙일 수 있고, 그래프는 데이터와 연동이 되어, 데이터가 바뀌며 그래프도 함께 바뀐다.

개인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기업 대상으로 제공되는 유료 서비스 vizoo Pro는 7월부터 제공할 예정으로, 기업의 데이터 분석과 지식 공유 도구로써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이미 웹상에서 그래프를 작성하여 공유하는 서비스는 이미 많이 존재(엑스차트 등)하지만, 데이터를 검색하고 그 데이터를 조합하여 쉽게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내는 점은 vizoo는 지금까지의 다른 그래프 서비스와 다른 점이 아닌가 싶다.

구글이 세계의 정보를 정리하여서 보여준다면, vizoo는 아무렇게나 널렸다던 데이터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어, 의미 있고 가치 있는 데이터를 우리에게 제공해주는 서비스라 생각된다.



최근에 한국에서 비주얼 검색 서비스로 vizooo가 공개되어 관심을 끌고 있는데, 이웃나라 일본에서도 비슷한 이름의 유망한 서비스가 나왔기에 좋은 인연이라 생각이 든다. 비슷한 이름의 양 서비스가 함께 분발해서 유저의 사랑을 한몸에 받길 바라는 마음이다.


2009/05/07 - [일본 검색 이야기] - 차세대 이미지 검색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이미지크루져(ImageCruser)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