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을 대표하는 소셜북마크 서비스 Hatena 북마크가 최근 유저의 사용성을 높이는 대대적인 개편에 이어 미디어로서의 역할을 맡은 Hatena 북마크 뉴스를 새롭게 오픈하였다.


천만 개 글 중에서 소개하는 입소문 뉴스 "Hatena 북마크 뉴스"

Hatena 북마크는 300만 명이 이용하는 일본 최대의 소셜북마크 서비스로서, 현재 북마크 된 글의 수는 1,200만 개에 달하고 있다.

이번에 새롭게 오픈한 Hatena 북마크 뉴스는 IT 뉴스부터 요리법까지 수많은 유저가 자율적으로 뽑은 신뢰성 높은 내용, 즉 집단지성에 의해서 만들어진 뉴스를 정리, 편집하여 제공하는 뉴스 사이트이다.

Hatena 북마크 뉴스는 Hatena 북마크의 인기 글새로운 글을 중심으로 소개한다.

그날의 주목받은 뉴스를 소개하는 헤드라인, Hatena 북마크에서 이슈가 되었던 것을 긴 시간에 걸쳐 다루는 , 특정의 이슈에 대해 Q&A 사이트 인력검색 Hatena의 100명에게 물어보는 앙케트로 구성된다.

또 기존의 Hatena 서비스와 연계해서 북마크 추가, Hatena 별 추첨하기 등의 기능이 갖추어져 있으며, 유저 참가를 유도하기 위해 칼럼에서 다루어졌으면 하는 글을 메일로 투고하는 기능도 추가하였다.

Hatena 북마크를 개발하고 운영을 맡은 나오야씨의 생각처럼 "지금은 보다 적극적으로 인터넷이 주는 미디어로서의 가치를 Hatena 북마크에 심는 새로운 실험"이 과연 성공할지 주목된다.

현재 Hatena는 등록 회원 수 90만, 순방문자 수 1,082만 명을 기록하고 있다.

추가 : Hatena 북마크 이야기가 나온 김에 한국 소셜북마크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마가린(mar.gar.in)에 들러 새롭게 북마크를 해 본다.


2008/12/13 - [일본 Hatena 이야기] - 소셜북마크의 진수는 즐겨찾기
2008/11/06 - [일본 Hatena 이야기] - 소셜북마크와 검색이 만나면?
2008/03/28 - [일본 Hatena 이야기] - 소셜북마크에서 민주적 미디어로 발전하는 Hatena 북마크

Posted by 오픈검색
,

ADSL 브로드밴드 시절에 소프트뱅크가 전개하는 야후 BB로 말미암아, 시장 주도권을 빼앗기고 눈물을 삼켰던 일본 최대의 통신 회사 NTT는 시대 흐름이 광통신으로 바뀌면서, 단숨에 그때의 한을 풀고 업계 최대의 계약 수를 기록하면 독주하고 있다.

이제 역사는 바뀌어서 소프트뱅크가 눈물을 흘리며 광통신 분야에서 살아남을 방법을 찾아야 할 시점인데, 그 방법이 다름 아닌 자신들이 데리고 놀던 호랑이 굴로 들어가는 방법이었다.


야후 BB 히카리 후렛츠 포스터(출처 : NikkeiBP)

소프트뱅크는 2월 6일 NTT와 대리점 계약을 체결, 2월 18일부터 야후 BB 히카리 후렛츠를 제공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번 정식 계약 전에 소프트뱅크는 작년 12월 16일부터 일부 지역에서 시험 판매를 하여왔다.

서비스 제공 지역을 초기 10개의 도현(都県)에 제공하고, 이후 전국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그렇다면 유무선 통신에서 앙숙과도 같은 소프트뱅크와 NTT가 손을 잡은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몇칠 전에 읽은 잡지에서 보면 이번 대리점 계약은 소프트뱅크에서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프트뱅크가 주도권을 쥐고 있던 ADSL 시장은 점차 축소되며, 전체 브로드밴드 시장에서의 비율도 낮아지고 있지만, 광케이블 통신은 시장을 확대하면서 규모가 커지는 상황이다.

더욱이 광케이블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은 대부분 NTT가 쥐는 상황(2008년 11월 현재 73% 점유율)에서 소프트뱅크가 전개할 수 있는 수단은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결국, 비용이 많이 들고 승산이 없는 인프라 사업을 접고, 기존에 다져 놓은 대리점 네트워크를 통해 수수료를 챙기는 것이 경제적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경쟁에서 살아남으려고 어제의 적이 오늘의 동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 사례이기도 하고, 소프트뱅크가 NTT의 독점을 가속해서, NTT를 분해해야 한다는 여론을 조장하려는 것이라는 음모론도 들린다.


2008/09/19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일본, 드디어 광케이블 이용자 수가 ADSL 이용자 수를 넘어서다.
2008/06/21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초고속에서 광속으로 바뀌는 일본 인터넷
2007/12/14 - [일본 모바일 서비스 이야기] - 일본 무선 인터넷 현황과 와이브로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