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한국에 상륙하지 않은 아이폰이지만 외국에 계신 분들의 사용기를 통해 이미 많은 정보가 한글 인터넷권에도 넘쳐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개인적으로 하나 더 추가하자면 배터리가 줄었다고 생각되면 성격 급하게 비상용 충전 배터리를 미리미리 꼽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안심하고 쓰기에는 짧은 아이폰 배터리

아이폰을 사용한 분은 느끼셨겠지만, 아이폰 배터리는 너무 짧아 쓰는 중에 배터리 아이콘에 신경이 자꾸만 간다.

개인적으로 밖에서 인터넷을 보는 데 주로 사용하는데, 4시간 정도가 한계가 아닌가 생각된다. 그래서 늘 아이폰을 손에 쥐고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별도의 비상용 충전배터리가 꼭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나 역시 휴대용 충전기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껴 요도바시 카메라에 들려보니 몇 종류의 제품이 진열되어 있었는데, 가장 비싼 것은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과 충전기 기능 겸용의 제품이었다. 굳이 아이폰으로 TV를 보고 싶지 않아, 순수하게 충전기 기능이 뛰어난 제품을 찾다 보니 My Battery i Dock를 고르게 되었다.


이제 안심하고 아이폰으로 인터넷을 즐길 수 있겠구나 하는 마음에서 배터리 아이콘을 쳐다보지 않고 쓰다 보니 어느 순간엔가 아이폰 화면이 꺼멓게 되는 것이 아닌가!

새로 산 비상용 충전 배터리는 고장?

여유를 부리며 비상용 충전 배터리를 멋지게 꼽고 아이폰이 다시 살아나기를 기다렸다. 한 시간 두 시간 아이폰이 충전되고 있다는 표시는 뜨는데 배터리는 전혀 늘지 않았다.

혹시나 이미 충전이 되었나 해서 충전기를 빼면 아이폰은 바로 저세상으로 가 버렸다. 슬슬 열이 받기 시작했다, 아이폰 구매할 때 점원이 한 말도 떠올랐다. "나도 아이폰 쓰는데 아이폰 잘 고장 난다, 또 수리비도 장난이 아니다^^"

집에 돌아와 아이폰 전용 충전기를 끼니 잠시 있다 아이폰이 소생하였다, "이런! 아이폰의 고장은 아니군!" 그럼 비상용 충전 배터리의 고장이 틀림없다는 확신을 하고 이번에는 휴대 배터리를 꼽으니 잠시 후 아이폰이 재차 꼴깍 하는 것이 아닌가, "요도바시 카메라! 사용도 못 하는 배터리를 팔아, 너 아주 잘 걸렸다." 다음날 전투태세를 갖추고 아키하바라 요도바시로 향했다.

전용 충전지 이외는 배터리 잔량이 30% 이상 남아 있어야 한다?

다른 매장에는 눈도 안주고 바로 아이폰 액세서리를 파는 매장으로 달려가, 점원에게 내용을 설명하고 어떻게 된 것이냐고 강한 어조로 물어보니, 담당자를 불러 주었다.

재차 설명을 하고 제대로 된 제품으로 바꾸어주든지 환불을 요구하였다.

그러자 담당자 왈 "아이폰 전용 충전기는 배터리 잔량이 0 이어도 충전되지만, 타 제조업체가 만든 비상용 충전 배터리는 30% 이상의 배터리 잔량이 있어야 충전할 수 있다"라는 것이 아닌가.

"아니 그렇다면 팔 때 그런 것을 알려주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하고 따지니, 자신들도 최근에서야 알았다고 한다. 애플이 정식으로 발표한 것은 아니지만, 이 문제는 애플 아이폰 자체의 문제로 비상용 배터리를 만드는 메이커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고 하니 대책이 없는 부분이다.

30% 정도에서 비상용 배터리를 꼽으라고 하지만, 그것도 애플 정식 발표가 아니니, 아이폰을 안심하고 쓰고자 한다면, 배터리가 반정도 줄었다 하면 미리미리 비상용 충전기를 꼽는 게 좋을 것 같다.


2009/02/10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한일 아이폰 전용 사이트 모음
2009/01/08 - [살아가는 이야기] -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아이폰"
2008/11/26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삼성, 휴대폰으로 일본 시장에 본격 출사표 던지나?
2008/11/01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일본 시장에 등장한 삼성 옴니아는 성실한 모범생폰

Posted by 오픈검색
,

얼마 전 한국에서 유엠아이디(UMID)가 MID(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인 mBook을 발표하여 화제가 되었다.


유엠아이디의 엠북 발표회(출처 : LAZION.COM)

노트북 급의 성능에 비해 작은 크기(158 x 94 x 18.6mm)와 315g의 무게, 그리고 6시간을 쓸 수 있는 배터리의 놀라운 지구력과 전자수첩 같이 날렵한 디자인은 한국 얼리어답터들을 충분히 흥분하게 만들었다.

무선 인터넷 기능으로 블루투스와 무선랜은 물론이고 WiBro, HSDPA, WiMAX가 전부 내장되어 있다고 하니 지금까지 나온 무선 인터넷 기술은 전부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다.

소비자의 열렬한 호응에 힘입어 초두 예약 판매분인 500대가 전부 매진되었다고 한다. 예약 판매 이후 외관 문제로 전부 리콜에 들어간 엠북이지만,
이처럼 한국에서 환영받는 엠북을 곧 일본에서도 판매한다고 한다

산케이신문에 따르면 일본에서 온라인게임 등을 서비스하는 NeoLAB을 통해 3월 말부터 판매에 들어간다고 한다.

판매망은 이동통신사 경유 판매와 와 양판점, 그리고 인터넷 판매 등을 고려하고 있으며, 가격대는 4만 8천 엔에서 7만 엔대로 잡고 있다.

산케이신문 뉴스를 일본의 유명 블로그 매거진인 기가진(GIGAZINE)이 소개, 일본 얼리어답터들의 모임 장소라 할 수 있는 일본 최대의 소셜북마크 사이트인 Hatena 북마크에서도 인기 뉴스로 등장, 현재까지 244명이 북마크하였다.

지금까지 한국 제품이나 서비스가 이처럼 많은 북마크를 받는 적은 그리 많지 않아 앞으로 일본 시장에서의 엠북 판매에 대한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북마크를 한 일본 유저의 의견을 보면,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를 하고 있으며, 작고 가볍다는 점과 그러면서도 노트북에 뒤지지 않는 성능, 그리고 배터리의 지구력을 높이 평가하는 것 같다.

다만, 과연 발표대로 실제로 엠북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과, 키보드가 작아서 제대로 입력할 수 있을지, 그리고 가격대가 비싸지 않는 가하는 문제 제기를 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 기업의 인터넷 서비스나 전자 제품 중에서 이처럼 관심을 끈 것은 그리 많지 않다, 곰플레이어로 유명한 그래텍 재팬의 곰플레이어와 파일뱅크가 각각 261건 1,428건으로 큰 관심을 끌며 북마크되어 그 후 꾸준한 인기로 곰플레이어는 2008년 최고의 프리 소프트웨어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한때 아이리버의 MP3가 깔끔한 디자인으로 커다란 인기를 끌면서 주목을 받았는데 이제는 옛말이 되었고, 최근 ASUS 등의 대만산 넷북과 HTC의 터치폰이 쏟아져 들어오면서 대만산의 점유율이 높아지는 일본 시장에서 삼성과 LG로 대표되는 한국 제품은 여전히 찬 밥 신세인데, 이번 mBook이 새로운 대박 상품으로 선전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초기 물량의 마무리 미숙, 그리고 키보드의 일부가 떠 있는 상태에 대한 지적 등이 나오고 있는데, 이런 문제를 말끔히 해결한 상태에서 유저들에게 다가가 오랫동안 사랑받는 브랜드로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09/01/14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일본 시장에서 인정받기 시작한 한국 소프트
2007/03/31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일본에서 활약중인 한국계 인터넷 기업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