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IT 기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에 중점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CDN(Contents Delivery Network) 서비스 전문기업인 클루넷에서 CDN에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을 도입한 CCN(Cloud Computing Network)을 본격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개념은 2006년 9월 세계적 검색업체 구글의 직원인 크리스토프 비시글리아 씨가 에릭 슈미츠 최고경영자(CEO)와의 회의에서 처음 제안한 내용으로 서로 다른 물리적인 위치에 존재하는 컴퓨터들의 리소스(스토리지, CPU, 네트워크 밴드위스)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하여 제공하는 기술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에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제공하는 HaaS(Hardware as a Service),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서비스하는 DaaS(Database as a Service), OS와 미들웨어, 개발 환경 등의 플랫폼을 제공하는 PaaS(Platform as a Service), 소프트웨어를 서비스로 제공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로 나누어지며, HaaS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아마존의 "Amazon EC2", DaaS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아마존의 "Amazon S3", PaaS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구글의 "Google App Engine"과 세일즈포스닷컴의 "Force.com"등이 있다.

이번에 클루넷에서 새롭게 선보인 CCN(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은 기존의 콘텐츠 전송네트워크인 CDN 서비스에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을 도입 한 것으로 IDC에 위치한 서버와 고속 네트워크 자원을 보유한 유저들을 하나의 가상네트워크로 통합하여 만든 가상 네트워크 자원을 일반 사용자가 대용량 파일, VOD 서비스 등을 요청할 때 분배하여 전송하는 서비스로 기존 CDN 방식보다 네트워크 효율성이 높아 차세대 CDN 서비스로 불리우고 있다.

가상화 기술을 통해 구현된 Cloud Computing Network 구성도

CCN을 통해 기대되는 효과는 HD 영상등 고화질 영상을 서비스하는 온라인 영화관과 UCC업체는 기존에는 IDC와 네트워크 회선비용으로만 수십억 원이 들었지만, CCN을 사용하면 절반 이하의 적은 비용으로 고품질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되며, UCC 등 동영상 콘텐츠를 서비스하는 업체는 과다한 네트워크 비용 때문에 수익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었지만, 이러한 콘텐츠 업체는 유통비용이 많이 줄기 때문에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서비스할 수 있어, 콘텐츠 유통비용이 줄어들게 되면 저작권자에게 더욱 많은 이익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콘텐츠 관련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도 있게 된다.

IBM이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를 서울, 도쿄 등 전 세계에 건설,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인 가운데, 일본 NTT는 자사가 운영하는 전국 18개의 IDC센터를 연계한 클라우드 컴퓨팅(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IT 기업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구글로 주역이 바뀌고, 대표적인 PC 제조 업체였던 IBM이 이제는 제조보다는 서비스에 중점을 옮겼듯이 우리들의 생활도 현실 생활보다는 웹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우리의 현실 생활을 더욱 즐겁고 편리하게 보내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던 기업들도 이제는 웹에서의 생활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가 웹에서 더욱 편리하고 즐겁게 보낼 수 있도록 서비스를 맞추어 나가는 느낌이다.

생활을 보다 편리하고 윤택하게 만들어 감은 물론이고 웹 세상을 에코시스템화하는 글로벌 기업에 지지 않고 한국의 기업들도 신기술 개발에 더욱 많은 투자가 필요할 듯하다.

IT 산업을 대표하는 글로벌규모의 대기업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에 전념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 벤처 기업 "클루넷"이 앞선 인프라 위에서 배양된 노하우와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국 시장은 물론이고 전 세계 시장에서 활약할 수 있게 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 이 글은 클루넷의 블로그 마케팅에 참여하며 작성한 글입니다 -

Posted by 오픈검색
,

사무용품 전문 메카인 KING JIM은 메모에 최적화된 포메라(POMERA)를 10월 21일 발표하였다.


회의 중, 이동 중, 강의 등 언제 어디서나 바로 메모할 수 있는 최적의 도구로 개발된 포메라는 개발자의 메모라는 기능에 대한 집요한 고집이 구석구석에 담겨 있다.

급한 메모에 필수적인 빠른 부팅시간과 이동성, 편리한 입력방식, 충분한 건전지 사용시간과 충격에 강한 내구성 등이 골고루 갖추어져 있다.

우선 무엇보다 빠른 부팅 시간 2초, 이동성이 편리한 접이식 키보드, 일본어 최적 입력 방식도구인 ATOK를 탑재, 건전지 2개로 20시간 사용 가능, 75cm 높이의 낙하에도 견디는 내구성을 지닌 포메라는 판매 정가 27,300엔이다.

포메라(POMERA)는
- 부팅 시간 2초
- 화면 4인치TFT 흑백 LCD
- 하드용량 8,000자 파일을 6개까지 저장
- 저장파일 형식 .txt
- 접이식 키보드
- Key pitch 약 17mm
- 입력방식은 일본어 ATOK 또는 MS-IME
- 무게 370g
- 크기 (접었을 때) 145*100*30mm, (폈을 때) 250*100mm
- USB케이블 또는 micro SD
- 소형 건전지 2개로 20시간
- 본체 가격 27,300엔
- 전용 케이스 155*110*40mm 가격 5,040엔

대만 아수스와 에이서의 이동성이 편리하고 4만∼5만엔대의 저렴한 가격대의 넷북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흑백에 단순히 텍스트 입력의 메모용으로 개발된 포메라가 얼마만큼 성장할 수 있을지는 사실 의문이다.

워드 프로세스 전용기 VS 퍼스널 컴퓨터

과거 퍼스널 컴퓨터가 확산할 때 일본에서는 워드프로세서 전용기가 애용되어 이후 다양한 기능의 워드프로세서 전용기가 나왔지만 결국에는 퍼스널 컴퓨터에 그 자리를 내주고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듯이, 포메라도 결국에는 인터넷이 가능하고 풍부한 기능을 갖춘 모바일 컴퓨터 등 넷북에 그 자리를 내 주게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포메라 VS 넷북

다만, 살지 안 살지는 별개로, 개인적으로 한대 있었으면 하는 생각도 들고, 일부 틈새시장(기자, 블로거, 학생 등)에서는 활약이 기대된다.

모든 것이 하나의 기기에 융합되는 시대에 심플한 기능과 편리함으로 넷북이라는 종합기와 싸워서 포메라가 살아남을지? 여러분은 어디에 손을 들어주겠습니까?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