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다(HONDA)오딧세이(ODYSSEY)의 제4세대 모델을 10월 16일 새롭게 선을 보인다.


뉴 오딧세이

1994년 일본에 새로운 미니밴 시대를 연 오딧세이는 이후 혼다의 대표적인 차종으로 발전하며, 진화를 거듭해 드디어 제4세대 모델까지 내놓게 되었다.



초대 오딧세이


2세대 오딧세이

    

3세대 오딧세이


혼다 오딧세이를 개인적으로 좋아하게 된 이유는 세계 최고의 차를 만들겠다는 혼다 창업자의 뜨거운 정열에도 끌렸지만, 혼다가 실적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게 되었을 때, 오딧세이라는 기존의 일본 시장에 없던 미니밴이라는 새로운 차종을 선보이며, 시장을 리드하고 또한 쓰러져 가던 혼다라는 회사를 다시 일으켜 세웠다는 이야기를 듣게 되면서다.

일반 소비자의 한 사람으로서, 인류의 기술이 총집합된 다양한 자동차의 성능과 최고의 디자인이 함축되어 표현되는 자동차의 오묘함을 단순히 비교하고 판단하기에는 쉽지 않은 것 같다. 특히 요즘같이 기술의 평준화로 비슷비슷한 디자인과 기능 속에서 오랜 시간 함께 할 차를 고른다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다, 그 속에서 소비자가 선택할 때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브랜드이고 그 차에 담겨 있는 다양한 이야기라고 생각된다.

오딧세이는 혼다가 1989년부터 일본 국내 판매가 줄어들기 시작, 이후 매년 눈에 띄게 판매량이 줄어들어, 1994년에는 경영이 어려워 새로운 대규모 설비 투자가 불가능했던 혼다가 고육지책으로 어코드를 생산하던 라인에서 어코드의 프레임과 생산 설비를 이용하려고 자동차 높이도 낮추면서 생산한 차로, 예상 외의 대박을 터트려 혼다를 기사회생시킨 공적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1995년 삼성은 수조 원의 돈을 투자하여 지금은 르노에게 넘긴 삼성 자동차를 출범시켰는데, 그 당시 삼성 자동차를 만드느니 혼다를 인수하였다면 어땠을까 하는 의견도 있다.

자동차를 무한히 사랑했고 일본을 잘 아는 이건희 전 삼성회장이 혼다의 사정을 모를 리 없었으리라 생각되는데, 혼다에 투자를 하고 싶어도 할 수 없었던 사정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삼성을 반도체, 휴대폰, LCD로 이어지는 세계적인 전자 업체로 키운 이건희씨지만 자신은 자동차에서, 그의 아들 이재용씨는 인터넷 분야 e삼성에서의 실패는 영원히 안고 가야 할 짐인 것 같다.


2006/07/25 - [일본 책 이야기] - 삼성의 미래 라이벌은 ? 두번째

 

Posted by 오픈검색
,

우리와는 다르게 휴대폰(모바일) 인터넷이 발달(여기서 말하는 것은 인프라나 디바이스가 아닌 생활과의 밀접성과 활용도 그리고 유저가 사용할 수 있는 콘텐츠의 양)한 일본에서 휴대폰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Katy에 만들어진 홈페이지 수가 드디어 1만 5천 개를 넘어섰다고 한다.


PC 인터넷 세상에서는 이미 검색을 통한 유저 유입을 기대하며 업체들의 홈페이지가 부지기수로 존재하지만, 휴대폰 인터넷 세상에서는 기업용 홈페이지는 물론이고 개인용 홈페이지(블로그)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휴대폰 성능의 향상과 인터넷 휴대폰의 증가, 그리고 휴대폰 인터넷 정액제가 보편화, 휴대폰 인터넷 서비스 콘텐츠의 확대로 휴대폰(모바일)인터넷 이용자가 급격하게 늘고 있고, 또 휴대폰 검색 서비스가 일반화 되면서 공식사이트 비공식 사이트의 경계가 없어져, 휴대폰 홈페이지에 대한 업체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PC 인터넷에서 검색 관련 키워드 광고 등을 통해 기업 사이트나 쇼핑몰 사이트로의 유입을 목격한 많은 기업인은 휴대폰 인터넷에서도 똑같은 일이 벌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모바일 검색엔진에 최적화된 Katy의 휴대폰 홈페이지

그런 기대와 관심속에 마이넷재팬이 운영하는 휴대폰 홈페이지 서비스 케이티는 꾸준히 성장, 드디어 1만 5천이라는 수를 넘어서게 되었다.

携帯サイトを活用する中小企業・個店舗の8割が今後のサイト拡充に意欲
휴대폰 사이트를 활용하는 중소기업 개인점포의 80%가 앞으로 사이트 확충에 의욕

- 70% 이상이 휴대폰 사이트를 만드는 동기로 "새로운 판촉 도구로서 유망"이라고 회답
- 이용자의 40%가 휴대폰 사이트는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라고 인식
- 느껴지는 성과는 "신규 고객의 증가"와 "가계의 이미지가 상승" "예상되는 고객을 파악" 등
- "성과가 나타난다."고 한 이용자는 쿠폰의 도입률이 높고, "SEO 대책" "길거리에서의
   카드,  전단지 배포" 등도 적극적
- 80%가 앞으로도 휴대폰 사이트를 "확충해 나갈 것이다."라고 회답


휴대폰 사이트를 만들게 된 이유 1. 새로운 판촉 툴로서 유망하다고 생각되어서, 2. 비용이 싸서, 3. 다른 판촉 활동과 조합할 수가 있어서, 4. 경쟁사가 이용하고 있어서, 5. 그 외
출처 All in One

한국에서는 한때 인터넷 기업 중 홈페이지 제작 툴로 유명한 나모가 주목을 받으며 성장을 하다가 주저앉았고, 이후 모바일 홈페이지 빌더로 애니빌이 주목을 받았던 것 같은데 이후 크게 이슈가 되지 않는 것을 보면 아직은 모바일 홈페이지 시장이 크게 주목을 받거나 활용이 되고 있지 않은 느낌이다.

다만 한국 시장에서도 폰페이지라고 불리며 업체들의 시장 활성화 노력은 이어지고 있는듯하다.

모바일웹 시장 잡아라

유니위스(대표 박우경 www.uniwis.com)는 위지위그 방식의 ‘모바일 스튜디오’를 내놓고 공공시장 공략을 강화한다.  송형열 유니위스 팀장은 “기업에서 웹사이트를 만들고 서비스를 진행했던 것처럼 관공서에서도 모바일웹 구축작업이 활발하다”며 “특히 금융 등 모바일 파생 분야에 맞춰 집중 영업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웹환경에 능숙한 사용자들을 위해 폰피넷(www.Ponp.net)을 통해 다양한 모바일 콘텐츠를 제작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도 선보였다.  유니위스는 기존 모바일웹 저작툴 외에 웹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콘텐츠를 휴대폰으로 직접 볼 수 있는 솔루션도 개발 중이다.  애니빌(대표 김상복 www.anybil.com)은 애니빌더를 통해 다양한 모바일 웹페이지 제작을 지원하는 한편 엠누리(www.mnuri.co.kr)를 통해 웹 환경에서 모바일 사이트 구축을 지원하고 있다.

출처 전자신문

풀브라우저 휴대폰이 늘어나면서 휴대폰 전용 사이트가 앞으로도 계속 성장할 것인가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게 나오고 있지만, 작은 화면의 휴대폰에 최적화된 휴대폰 사이트는 한동안은 휴대폰의 주 이용 사이트로 존재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2007/06/22 - [일본 모바일 서비스 이야기] - 모바일 전용 블로그 서비스 "데코부로"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