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웹하드 시장이 불법 파일 유통 등으로 소란스런 가운데, 곰플레이어로 유명한 그래텍이 파일뱅크(FILEBANK)로 참여 중인 일본 웹하드(온라인 스토리지)시장이 매년 급성장하여 2013년에는 1,330억 엔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발표가 나왔다.

일본의 조사회사 SEED PLANNING이 14일 발표한 "2009년 판 온라인 스토리지 최신 시장과 장래 전망"에 따르면 2007년 현재 105억 엔인 일본의 웹하드 시장이 2013년에는 13배 성장한 1,330억 엔의 시장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번 조사는 인터넷과 휴대폰 등 네트워크상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스토리지 서비스로, 사진과 동영상 등 일반에 공개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 투고사이트는 제외되고 특정 유저간의 공유와 전송을 주목적으로 한 37사 60개의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본 온라인 스토리지 시장 성장 곡선(출처 SEED PLANNING)

일본 온라인 스토리지시장은 2001년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그 후 순조롭게 성장, 2004년부터 2006년까지 160%대로 증가, 2007년에는 이동통신사의 휴대폰 대상의 온라인 스토리지도 시작되어 작년 대비 191%의 급성장을 이루었다.

서비스 내용을 보면, 보존, 공유, 전송, 공개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특히 공유를 주목적으로 한 서비스가 45%를 차지하고 있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전체 서비스에서 개인 대상이 77%, 기업 대상이 33%를 차지하고 있다.

온라인 스토리지 시장은 앞으로 기업용으로는 네트워크 서비스인 SaaS가 주류가 되고, 하드디스크가 없는 제품이 증가, 온라인 스토리지의 이용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하며, 개인 대상으로는 무료 서비스가 주류가 될 것이며, 동영상 등의 이용으로 앞으로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휴대폰 분야에서는 2007년에 이동통신사가 전화번호부의 백업 서비스를 시작, 많은 유저를 획득, 월 105엔의 저가격이지만, 회원수는 연간 수십만에서 수백만 증가하고 있어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된다.

온라인 스토리지 서비스 중 주목 가는 곳은 복사기 전문 기업으로 유명한 리코가 file your life를 컨셉으로 새롭게 오픈한 quanp이다.


quanp는 일본 산업 디자인 진흥회에서 개최한 2008년 굿디자인상 디지털미디어 부문에서 굿디자인상을 받았다.


그래택의 파일뱅크은 2006년에 야후에서 주최하는 Web of the Year 2006 온라인 포토 스토리지 부문에서 3위를 차지하면 주목을 받기도 하였는데, 급성장하는 일본의 온라인 스토리지 시장에서 꾸준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Posted by 오픈검색
,

요즘 세상의 흘러가는 모습을 보면, 문명의 이기는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지만, 그 속에 사는 우리는 과거에 비해 더욱 힘들게 살아가고 있지 않나 생각된다.

또한, 반세기 전에는 모두가 먹을 것이 없고, 하루하루를 넘기기도 어려웠어도, 함께 열심히 일하면 언젠가는 모두가 행복해질 수 있을 거라는 꿈과 희망을 품고 있었지만, 지금은 갈수록 커지는 빈부의 격차로 말미암아서 미래에 대한 꿈도 희망도 없이 그저 하루하루 바쁘게 살아가며, 근근이 연명해 나가는데 급급한 모습이다.

우리가 꿈꾸었던 21세기 모습은 고도로 발달한 문명의 이기 속에서 모두가 근심 걱정 없이 행복하고, 바닷속에서 또는 다른 행성으로의 여행을 자유롭게 오고 가는 그런 모습이었다.

그런 꿈과 희망을 품고 기다렸던 21세기 모습은 너무나 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왔다.

아프리카에서는 여전히 빈곤과 가난으로 어린이들이 굶주려 죽어가고 있고, 세계 곳곳에서는 전쟁이 끊이지 않고 무고한 생명이 처참하게 죽어가고 있다.

우리 한민족 최대의 염원이었던 통일도, 한반도 통일의 중심축이 되어야 할 대한민국은 아직도 정치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불안하고, 국민의 통일에 대한 염원도 과거보다 많이 식은 느낌이다.

오늘은 전 세계 블로거들이 한가지 특정 주제에 대해 블로깅하고 이를 통해 생각을 나누는 블로그 액션데이(Blog Action Day)라고 한다.



그리고 올해의 주제는 "빈곤"이라고 한다.

인터넷 초창기 인터넷을 통해서 무엇이든지 가능하리라 믿었지만, 결국은 세상의 무엇도 바꾸지 못하고 인터넷 버불의 붕괴와 함께 끝난 듯이 보였다.

이후 구글과 아마존 등 새로운 이노베이션 모델의 인터넷 기업이 번성하고, UCC 등으로 대변되는 유저 스스로가 참여하고, 공유하고, 개방화 된 새로운 물결이 인터넷을 뒤덮으며, 새로운 세상을 예고하였다.

이후 웹2.0으로 대표되는 다양한 모습의 기업들이 모습을 드러냈지만, 한때의 유행처럼 제대로 된 수익 구조를 못 만들면서 또다시 미니 버블 붕괴라는 모습을 보여주며 기대에 부풀었던 사람들을 다시 실망의 구렁텅이로 빠져들게 하고 있다.

그렇지만, 과거하고 확실하게 변한 것은 인터넷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주체가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 인터넷 유저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유저에 의해 수많은 정보가 만들어지고 쌓이고, 정보가 편집되고, 또 활용되고 있다.

그것은 빈부와 권력에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공평하고 그리고 자유롭게 주어진 개방된 세상이기에 마음만 먹는다면 누구나 참여하고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는 세상이다.

인류 스스로 만들어 낸 빈곤과 가난의 굴레이기에 그것을 헤쳐나가는 것도 인류 자신의 지혜에 의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블로그는 하나의 도구에 지나지 않지만 잘 만들어진 도구로 말미암아 우리 인류가 바뀔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블로그라는 작은 도구로 인류의 지혜가 하나로 응집되어 집단지성으로 승화될 그런 날이 만들어지길 바라는 마음이다.  

지금까지 블로그에 참여하지 않고 지켜보아 왔다면, 블로그 액션데이를 맞이하여, 가벼운 마음으로 한 문장 적어보면 어떨까 생각한다.


2008/07/23 - [하테나 블로그 이야기] - 나에게 블로그는 "인생 전환의 동반자"다.
2007/05/08 - [하테나 블로그 이야기] - 주변사람에게 블로그를 권할때...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