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필름 회사 후지필름이 웹 시대를 맞이하여, 자사가 가진 원천 기술을 이용한 웹 서비스 개발에 나서고 있다.

후지필름은 자사에서 개발 중인 소프트웨어를 공개하는 "FUJIFILM Internet Technology Lads"를 통해 얼굴 인식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카오라보( 顔ラボ : 얼굴랩 )"을 15일 공개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카오라보는 업로드한 사진을 분석하여, 얼굴 부분을 자동 선택, 가공할 수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 "카오시크릿"을 선보이고 있다. 기능으로는 얼굴에 다른 이미지를 붙이거나, 뿌옇게 할 수 있으며, 가공한 이미지는 프린트도 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태우님이 찍어 준 사진을 가지고 뿌옇게 처리해 보다

카오시크릿 외에, 앞으로 얼굴에 비친 비눗방울을 작성하는 게임 "카오샤봉"을 21일 공개할 예정이며, 얼굴 인식 기능을 사용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할 수 있는 API도 28일 공개한다고 한다. API는 사전 등록제로 비상업용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카오라보는 FUJIFILM Internet Technology Labs가 2007년 7월에 개설된 이후 2탄으로 소개하는 기술로, 1탄은 이미지 검색 엔진 "TRIPIT"였다.

"TRIPIT"는 이미지에 붙어 있는 태그나 타이틀을 가지고 관련 있는 이미지를 찾아내는 "관련 이미지 검색엔진"이다, 예를 들어 꽃이라는 단어를 검색한다고 하면, 상위 개념의 식물, 하위 개념의 백합 또는 장미, 그리고 동등 개념의 정원 가꾸기, 새 등을 연관지어 검색할 수 있다.

현재 TRIPIT를 이용하여 플리커의 이미지 검색위키피디아의 관련 키워드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플로커에서의 KOREA 관련 이미지 검색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 위키피디아에서의 한국(韓国) 관련 키워드 검색

TRIPIT는 이미지 검색은 물론 태그나 타이틀이 달린 동영상, 상품 검색 등 다양한 사이트에서 활용할 수 있다.

TRIPIT의 핵심 기술은 후지필름과 서버도메인이 함께 개발하였다.

웹을 기반으로 한 신생 벤처들은 물론이고 기존 오프라인 사업에서 튼튼한 위치를 구축하였던 거대 기업들도 다가오는 웹 시대에서 살아남고자 그 거대한 몸집을 서서히 움직이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제부터의 세상은 웹진화론의 저자 우메다 모치오씨가 말하였던 서바이벌 게임의 세상이다. 개인은 물론이고 거대 기업도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거대한 공룡과 마찬가지로 멸종의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2007/07/20 - [일본 인터넷 서비스 이야기] - 한 장의 사진으로 3차원 애니메이션을 만들어 내는 “Motion Portrait”
2007/05/24 - [일본 모바일 서비스 이야기] - 얼굴 인식 기술을 이용한 모바일 서비스 “Kaocheki” 인기 폭발중
2006/12/15 - [미분류] - Riya에 한글 티셔츠가 ?

Posted by 오픈검색
,

광학 3배 줌, 제논(xenon : 크세논) 플래시, 얼굴 인식 기능 등 최첨단 디지털 카메라와 비슷한 성능을 자랑하며 삼성의 500만 화소 휴대전화가 드디어 소프트뱅크 모바일을 통해 일본에 상륙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디지털 카메라의 우수한 기능을 모두 장착한 삼성 휴대전화는 이름도 "포토스(Photos)"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삼성이 지금까지 맛보기로 슬림폰 등을 일본 시장에서 제품을 선보였다면 이번 제품은 제품의 품질과 판매량에서 명실상부한 세계 2위 휴대전화 업체인 삼성의 실력과 일본 유저 입맛에 맞게 현지화한 회심의 제품이 아닌가 생각된다. 포토스는 소프트뱅크 모바일의 고급 기종인 900시리즈에 삼성 제품으로는 처음 올라가는 휴대전화(920SC)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제품에 비해 광고 노출도 많고, 자체 홈페이지를 통한 이벤트도 거하게 열리고 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벤트 기간 중 구매 고객 모두에게 2GB의 USB 악세서리를 선물 중인 삼성 재팬

세계 전자제품 시장 중에서 가장 치열하며 소비자들의 요구가 다양하여 업체들이 쉽게 이익을 내지 못하는 시장으로 악명이 높은 일본시장에서 시장 진입과 기업 브랜드 만들기에 실패, 결국은 일반 소비자용 전자제품 시장에서 전면 철수한 삼성이 자사가 세계 시장을 리드하고 있는 휴대전화로 기업 이미지를 구축한 후에 다시 일본 전자제품 시장에 상륙하지 않을까 하는 장밋빛 예상도 펼쳐본다.

또한, 삼성 등 한국 기업들이 주체가 되어 개발된 모바일 와이맥스(와이브로)가 KDDI를 통해 일본에서 서비스되는 2009년도에는 삼성 와이브로 휴대전화도 일본 길거리에서 쉽게 접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그때가 되면 아이폰이 아닌 애니콜의 환상적인 휴대전화가 일본 소비자들의 마음을 휘어잡을 수 있게 되길 바란다.

관련글
삼성 휴대폰 日서 설욕전 나선다 ( 헤럴드경제 )

2007/12/14 - [일본 모바일 서비스 이야기] - 일본 무선 인터넷 현황과 와이브로
2007/08/02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휴대전화에 이어 TV, 삼성의 대표 브랜드 보르드TV가 일본 상륙
2007/07/08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LG전자 초콜릿폰으로 일본시장 본격 진출
2007/04/19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Slim ! = SoftBank ×SAMSUNG
2007/01/25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LG PRADA폰으로 일본에서 애플의 iPhone에 싸움을 걸어보라.
2006/10/03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삼성 일본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나?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