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1999년 아이모드(i-mode)를 시작으로 모바일 인터넷이 생활 속 깊숙이 파고들었다.

이동통신사의 첨단 통신 인프라의 구축, 그리고 단말기 업체의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휴대폰, 그 위에서 유저의 감각을 자극하며 각양각색의 콘텐츠가 서비스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벨소리, SNS, 게임, 프로필 홈페이지, 휴대폰 소설 등이 많은 인기를 끌었는데, 최근에 모바일 인터넷의 속도 향상으로 동영상 서비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시선을 끄는 것은 5월 1일 개국한 BeeTV다.


BeeTV는 에이벡스(AVEX)와 NTT도코모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모바일 동영상 사이트로 월정액 315엔을 내고 8개 채널, 21개 프로, 200개 이상의 이야기를 마음대로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BeeTV는 1개월간 추정 회원수 30만에 다운로드수 1,000만 돌파를 기록하면서 성공적인 결과를 내고 있다.

그동안 동영상 서비스는 돈 먹는 하마라는 이명을 얻을 정도로 이용자수 확대에 비해 서비스 업체에는 수익을 가져다주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BeeTV의 성공적인 출발은 그러한 구도를 돌파할 수 있는 하나의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BeeTV의 특징은 제대로 자금을 들여 일반 방송국 수준의 프로을 제작한 점과 방송의 인기도에 따라 제작자와 출연자에게 수익금을 분배하는 등 기존 방송국이나 웹 기반의 동영상 사이트와는 차별화된 모습으로 소비자와 제작자 모두로부터 환영받을 수 있는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다.

일본의 웹은 두 개로 나누어져 있다, PC로 대표되는 웹 세상과,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웹 세상인데, 양쪽 세상을 비교해 보면 웹 세상은 일반적으로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고 광고 수익을 주로 취하고 있지만, 모바일 웹 세상은 유료 콘텐츠가 중심으로 이동통신사에 의한 과금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구축되어 수많은 콘텐츠 업체들이 모바일 웹 세상으로 뛰어들고 있다.

이번 BeeTV의 초기 성공은 다시 한번 모바일 콘텐츠는 돈이 된다는 공식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세계적으로 Hulu가 성공하는 가운데 일본만의 차별화된 성공 모델을 보여주면서 일본이 갈라파고스 열도임을 보여준 것 같다.

일본의 모바일 비즈니스 시장 규모는 11,464억 엔(2007년)으로 그중에서 콘텐츠 시장은 4,233억 엔이다.


2009/04/09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빛 좋은 개살구 동영상 서비스, 그 끝은?
2009/02/01 - [일본 검색 이야기] - 구글에 대항하여 등장한 한일 동영상 검색 서비스
2008/11/14 - [일본 인터넷 기업 이야기] - 일본 니코니코동화는 성장 중, 운영회사는 고전 중
2008/05/28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일본 NHK 방송이 유튜브(YouTube)에 참여
2008/02/05 - [일본 인터넷 기업 이야기] - 콘텐츠 제작 회사와 콘텐츠 플랫폼 회사의 제휴

Posted by 오픈검색
,

6월 15일 5,000명의 테스터를 대상으로 클로즈드 베타 테스트를 시작한 네이버 재팬의 메인 페이지는 초록색 일색, 한국 검색 시장에서의 성공을 바탕으로 일본 시장에서도 초록색을 메인으로 자사 검색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통합 검색과 유저 커뮤니티를 통한 검색을 보여주려는 느낌이 강하게 전해져 온다.


초록색이 인상적인 네이버 재팬 메인 페이지

함께 찾는(探しあう)검색을 표방하는 네이버 재팬은 검색 메뉴로 "웹" "이미지" "동영상" "블로그"까지는 다른 검색 서비스와 비슷한 모양세이지만, 게시판과 Q&A 서비스의 관련 내용을 보여주는 "입소문(クチコミ)", 백과사전과 같이 키워드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서 보여주는 "테마(テーマ)" 등과 함께,  검색으로 해결되지 않는 알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을 모두가 함께 찾아서 정리하자는 "정리(まとめ)"는 네이버가 일본 유저에게서 가장 주목받고 싶어하는 차별화된 네이버 검색의 핵심 무기가 아닐까 생각된다.


보아(BOA) 통합검색 결과 페이지
프로필, 웹검색 등이 차례로 보이며,  왼쪽에 이미지와 쇼핑

일본 유저로서는 그동안 이용해 왔던 단순한 UI의 야후 재팬과 구글과는 전혀 다른 강한 색깔의 초록색 이미지의 네이버 통합 검색이 복잡하고 당황스럽지 않을까 싶지만, 찾고자 한 결과가 첫 페이지에 깔끔하게 정리되어 나오는 놀라움을 경험하면 할 수록 초록색의 네이버에 중독되어 검색을 하러 오지 않을까 싶다.


가장 주목받는 정리(MATOME) 페이지
사용 방법이나 등록이 익숙하지 않고 보여주는 것만 사용하던 유저들에게는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해야하는 정리(MATOME)가 처음에는 쉽지 않을 듯

함께 찾는 검색을 표방한 네이버가 기존 검색으로 해결되지 않는 알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을 모두가 함께 찾아서 정리하자고 만든 "정리(MATOME)"라는 서비스가 얼마나 빨리 유저들에게 익숙해져서, 참여 유저를 늘려나갈 수 있느냐에 따라 네이버의 일본 검색 시장 제2차 도전이 성공할지 실패할지를 판가름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것 같다.

일본 웹에서 현재 "네이버(NAVER)"를 검색하면, IT 관련 웹 사이트는 물론이고 경제신문인 닛케이에서도 다룬 기사를 찾을 수 있으며, 블로그 검색을 해 보면 많은 일본 유저들이 네이버의 테스터로 참가하면서 느낀 감상을 적고 있다.

현재의 평가는 크게 의미를 둘 수는 없겠지만, 아직까지는 기대의 목소리가 크다는 점에서 첫 출발이 나쁘지는 않은 느낌이다.

통합 검색의 노하우와 차별화된 커뮤니티 검색이 그 진가를 제대로 발휘하여, 야후 재팬과 구글에서 만족할 만한 검색 결과를 얻지 못한 유저들이 네이버 재팬으로 발길을 옮긴다면 네이버 재팬으로서는 다시 없는 커다란 성공을 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지식인을 선두로 한 페이지에서 다양한 정보를 보여주는 통합검색을 무기로 한국 검색 시장을 석권한 네이버가 이제 그 실험 무대를 일본으로 옮겨 첫 발을 띄었지만, 누구도 성공을 확신할 수는 없는 상황이지만, 아직은 그 가능성에 손을 들어줄 수 있을 것 같다. 


네이버 초록색 검색창, 일본에서도 통할까?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