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로 Q&A 서비스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진 일본 OKWave가 지금까지 텍스트 위주의 Q&A 서비스를 벗어나 영상과 이미지 그리고 음성을 통한 Q&A 서비스 "멀티미디어 Q&A 서비스"를 19일 새롭게 시작한다고 발표하였다.


멀티미디어 Q&A 기능 오픈에 따라, 그동안 텍스트로는 불가능했던 질문과 답변을 영상 등을 통해서 보다 자세하게 물어보고 답할 수 있게 되었다.

멀티미디어 Q&A 서비스에 업로드 할 수 있는 파일 형식과 용량
 종류 업로드 가능한 파일 형식  업로드 가능한 데이타 양 
 이미지 jpg, jpeg  200KB 
 동영상 mov, mpg, mpeg, wmv, avi, mp4, 3gp, flv, amc  20MB 
 음성 wav, mp3  1MB 
※ 순차적으로 bmp,wma 등을 포함하여 파일 형식을 확장할 예정이다.

이번 멀티미디어 Q&A 서비스는 OKWave와 마이크로소프트가 공동으로 개발하여, 우선 자사 사이트인 OKWave와 포털 사이트인 MSN의 MSN 상담상자(相談箱)에서 먼저 실시하며, 앞으로 제휴 사이트 90개에도 연내에 제공할 예정이다.

또 멀티미디어 Q&A는 PC에서는 물론이고 휴대폰, 메일, 팩스, 전화를 통해서도 질문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자본 제휴를 통해 보다 밀접한 관계를 맺은 OKWave와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멀티미디어 지식인 서비스를 통해 검색 사용자수 증가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털 사이트 2위권에 위치하고 있지만, 검색에서는 야후 재팬과 구글에 큰 차이로 벌어져 있는 MSN으로서는 Q&A 서비스로 그 차이를 줄이고, 그 여세를 몰아 일본 검색 시장을 3강 구도로 만들어 나가는 것이 최종 목표가 아닌가 싶다.

OKWave는 1999년 7월에 설립, 2000년 1월 서비스 개시하여, 현재 회원수 129만, 1,700만의 Q&A 콘텐츠, 순방문자수 4,100만, 페이지뷰 5억 5천/월을 기록하고 있다.


2008/06/06 - [일본 검색 이야기] - MSN 재팬, Q&A 서비스 "MSN 상담상자" 개편
2008/03/13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마이크로소프트가 처음으로 투자한 일본 인터넷 기업은?
2007/02/25 - [일본 검색 이야기] - 일본에서 Q&A 서비스가 급성장중
2007/01/24 - [일본 검색 이야기] - 일본의 Q&A 서비스

Posted by 오픈검색
,

일본 와세다 대학 벤처 기업인 유저 로컬(UserLocal)은 유저의 움직임을 파악하여 분석하여 주는 마케팅 도구인 유저 인사이트(UserInsight)를 선보였다.


유저 인사이트는 웹사이트를 어떤 사람이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자세하게 분석하여 주는 기능을 가진 새로운 액세스 분석형 마케팅 도구이다.

특징1 히트맵

- 유저가 페이지의 어디를 주목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 몇%의 유저가 페이지를 어디까지 읽었는지 알 수 있다.
- 유저가 어디를 클릭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특징2 유저 분석

- 사이트 방문자의 성별(남녀비), 연령을 예상할 수 있다.
- 인터넷 이용도와 해당 사이트를 자주 방문하고 있는지 집계하다.
- 방문자의 지역분포 분석, 지역별 액세스를 인구비를 고려한 상대치와 절대치로 표시한다.

※특징1과 특징2를 종합하여 남녀가 어디를 주시하며, 어디까지 읽고 있는지 등 그 차이를 파악할 수 있다.


특징3 조직 분석

기업과 단체별로 액세스를 집계하여 언제 어디서부터 액세스가 있었는지, 어떤 조직으로부터 액세스가 많았는지를 집계한다.

유저 인사이트의 이용료는 월 5만 엔이다.


유저 인사이트가 이처럼 다양한 자료와 분석을 할 수 있는 것은 유저 로컬이 2007년부터 제공하는 개인용 액세스 분석 도구인 나카노히토(nakanohito)의 데이타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카노히토는 현재 7만 5,000 사이트에 도입되어 이용되고 있으며, 유저 로컬은 매월 2억 액세스를 처리하고 있으며, 나카노히토의 모바일판인 우고쿠히토(ugokuhito)도 제공하고 있다.

유저 인사이트와 유사한 서비스로 Crazy Egg가 있다.

일본에서는 유저의 시선 움직임을 조사하는 기법으로 "Web Eye 기법"을 사용하며, "Web Eye 기법"에는 "Eye Tracking 기술과 기기"가 사용되는데 이 분야에서는 JMI라는 회사가 유명하다.


2007/06/13 - [한국 인터넷 이야기] - 한・미・일 유저의 검색 결과를 바라보는 시선의 움직임 비교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