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MP3 분야에서 세상을 호령하였던 수많은 한국의 MP3 업체들이 이제는 자취를 감추었고 그나마 아이리버로 유명한 레인콤과 제트오디오의 코원 정도가 명맥을 유지하고 세상은 애플의 아이팟 세상이 되었다.

세계 시장과 마찬가지로 일본 시장에서도 MP3가 주류 상품이 아니던 시절부터 아이리버와 코원 등이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하면서 일본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넓혀가고 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차츰 MP3가 확산하면서 이제는 익은 과일을 따고자 준비하고 있을 때 느닷없이 단순 기능의 아이팟(iPod)이 겁나게 덤벼들었다. 기존의 MP3 업체들은 참 가소롭다는 표정으로 그런 제품으로 장사가 되겠니 하며 애플도 이젠 갈 때까지 갔구나 하고 콧방귀를 뀌었지만, 참신한 디자인의 하드와 사용하기 쉬운 소프트의 만남은 모두의 예상을 깨고 세상은 애플의 손을 들어주었고 애플은 MP3 시장에서 거인이 되었다, 그리고 한국의 MP3 업체들은 애플의 그늘 속에서 근근이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이제 그 애플이 아이폰으로 다시 세상을 흔들어 놓고 있다.

MP3가 중소규모 업체들의 각축장이었다면 휴대폰 시장은 세계적인 거대 기업들이 인류가 개발한 최첨단의 기술을 뽐내며 거대한 시장을 차지하려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시장이라 애플도 승리를 장담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아이폰의 첫 번째 작품은 세계에서 600만대가 팔렸다고 한다.

첫 출발로는 좋은 성적이지만, 세계적 휴대폰 업체들의 히트 휴대폰에 비하면 대단한 성적은 아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6월에 애플은 아이폰의 2탄이라고 할 수 있는 3G 아이폰을 발표, 첨단 기능이 추가되었음에도 파격적인 가격으로 세상을 놀라게 하였다.

그리고 그 첫 테이프를 일본에서 끊는다고 한다.

일본 휴대폰 시장은 글로벌 휴대폰 업체에는 난공불락 요새와 같이 넘기 어려운 시장으로 유명한데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휴대폰 업체인 삼성과 LG도 힘겨운 경쟁을 하는 시장이다.

최근에 삼성과 엘지도 일본 시장 공략에 대한 가능성에 눈을 뜨기 시작하여 세계 시장에 공들이는 노력의 몇 배를 투자하면서 일본 시장 공략에 정성을 쏟고 있고 최신형 모델들을 계속해서 투입하며 인지도를 높여나가고 있다.

6월 1일 LG는 프라다와 공동으로 만든 프라다폰(PRADA Phone)을 일본 시장에 선보였다, 기술력은 있지만 브랜드력이 약한 엘지로서는 자신의 이름을 일본 시장에 각인시킬 기회다.

프라다폰 발표 이후 소프트뱅크 모바일이 애플 아이폰의 일본 시장 파트너로 선정이 되었다고 6월 4일 발표, 그후 10일 WWDC에서 정식으로 일본 판매를 선언하면서 일본 언론과 이동통신업계의 관심은 아이폰 일색으로 바뀌었고, 아이폰에 대한 뉴스와 평가 기사를 쏟아 내고 있다.

싱가폴에서 열린 CommunicAsia 2008에서 삼성이 아이폰의 대항마라는 이명을 가진 옴니아(OMNIA)를 정식 발표하였고, 아이폰을 판매할 소프트뱅크 모바일과 일본 시장 판매에 대한 협의에 들어갔다고 한다.

옴니아는 아이폰보다 더욱 앞선 기능과 성능을 뽐내며 아이폰 타도를 외치고 있지만, 손정의 사장이 직접 나서서 자사에서 꼭 팔겠다고 애원한 애플 아이폰과 담당자가 가서 협의를 한 옴니아 둘 중에서 어디에 소프트뱅크가 힘을 쏟을지는 명확한 일이라고 보여진다.

어찌 이리도 MP3 시절과 똑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는지 신기할 정도이다.

당시 MP3 시장은 성숙한 시장이 되어 새로운 기능을 넣을 것도 없고 새로운 선수가 끼어들기도 어려운 시장이었지만 애플은 신선한 디자인의 하드와 편리한 소프트, 그리고 음악 판매로 시장을 석권하였다.

현재 휴대폰 시장은 글로벌 기업 5위권의 노키아, 삼성, 모토로라, 엘지, 소니에릭슨으로 거의 자리를 잡아 가고 있고 일본 휴대폰 시장도 10여 개 업체가 이합집산을 거치며 생존의 길을 찾고 있다.

그런 시장에 애플은 또다시 참신한 디자인과 터치 스크린 방식, 그리고 이번에는 음악 대신 전 세계 개발자들이 최고의 기랑을 뽐내며 만들어 낼 아이폰용 소프트를 파는 모델로 다시 한번 세상을 흔들어 놓으려고 하고 있다.

아이리버, 코원이 대표로 나선 한국과 애플의 1라운드는 한국의 완패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새롭게 멤버를 삼성과 엘지로 바꾼 한국은 과연 애플과의 2라운드에서 승리를 할 수 있을까?

좀 비관적이긴 하여도 온 힘을 다해달라고 응원하고픈 마음이다, 최고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믿는 휴대폰마저 밀리면 뒤에서 몸을 풀면 3라운드를 준비하고 있는 애플TV에게도 또 다른 승리를 안겨 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러면 우리에게 남는 것은 조선과 자동차인데 그쪽은 다행이도 애플이 관심을 둘 것 같지는 않다.


2008/06/10 - [일본 모바일 기업 이야기] - 3G 아이폰(iPhone), 세계 최초 판매는 일본?
2008/06/04 - [일본 모바일 기업 이야기] - 애플, 소프트뱅크를 통해 3G 아이폰(iPhone) 판매
2008/05/09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LG 프라다폰, 6월에 일본 상륙
2008/04/11 - [일본 모바일 서비스 이야기] - 글로벌 휴대폰 업체들의 무덤으로 불리는 일본 휴대폰 시장
2007/01/25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LG PRADA폰으로 일본에서 애플의 iPhone에 싸움을 걸어보라.


Posted by 오픈검색
,

일본 파워블로그 네트워크인 AMN(애자일 미디어 네트워크)를 17일 저녁에 방문하여, 파워(알파)블로거인 도쿠리키 모토히코(徳力基彦)씨와 한일 블로그에 대해서 간단하나마 이야기를 나누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도쿠리키씨는 일본을 대표하는 파워 블로거로 NTT에서 근무하다 신규사업과 이노베이션 관련 커뮤니티 사이트인 FPN을 운영하며, 알파 블로거 어워드를 주최하였고, 알파 블로거 네트워크인 AMN을 창업할 때는 블로거로서 운영에 참가하였다.

저녁 6시의 만남은 한 시간여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저널리즘과 개인 미디어로서 적극적인 한국 블로거

오픈검색 : 먼저 이번 방문 목적은 일본 인터넷 업계 사람들을 만나고 그들을 취재하여 블로그에 소개하는 첫 출발점이 되고자 한다.

도쿠리키씨 : 일본 블로거들이 대부분 기존 미디어 뉴스를 2차 가공하여 자신을 의견을 함께 소개하는 데 그치는 반면 한국의 블로거들은 현장을 취재하거나 직접 인터뷰 한 내용을 올린다는 점에서 보다 저널리스트에 가깝지 않나 생각된다.

오픈검색 : 오마이뉴스 등 시민 참여 기자들의 활동도 활발하고 다음 블로그 기자 등을 보더라도 현장을 누비는 분들이 꽤 있는 것 같다, 그런 면에서 차분하게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서 블로그에 올리는 일본의 블로거와 비교하면 개인 미디어 의식은 한국 블로거들이 강하게 갖고 있지 않나 생각된다.


애자일 미디어 네트워크는 순수 블로그의 네트워크

오픈검색 : 아메바 블로그 등이 유명 연예인 대상의 블로그를 적극적으로 오픈하면서 막대한 트래픽을 생산하고 있는데 그런 인지도 높은 블로그도 앞으로 참여할 예정인가?

도쿠리키씨 : 애자일 미디어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블로그들은 순수하게 블로그를 통해서 인지도를 넓혀온 블로거들의 네트워크로 애자일 미디어 네트워크는 광고대행사로서 역할에 충실히하려고 하며, 엔터테이먼트성 블로그 즉 연예인 블로그는 참여시키지 않을 생각이며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


AMN에 참여하는 블로거들의 선정은 주변 네트워크부터?

오픈검색 : 내가 한국의 블로그 네트워크인 태터앤미디어(TNM)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태터앤미디어의 높으신 분(?)과 면식이 있어서 운 좋게 참여할 수 있었는데, AMN에 참여하고 있는 블로거의 선정 방법은?

도쿠리키씨 : 똑같다^^, 나의 주변 블로거부터 영입하였고, 그 후 점차 확대되었다.

오픈검색 : TNM의 경우 참여 광고 영업은 물론 블로그 운영 관리에 필요한 기술 면과 디자인 면에서 폭넓게 지원하고 있는데, AMN은 어떤지?

도쿠리키씨 : 블로그 관리 지원까지는 힘들고 현재로서는 광고 면에서 힘을 쏟고 있다.

도쿠리키씨 : TNM(=TNC)은 어떤 회사인가?

오픈검색 : 원래 블로그 소프트를 개발하는 회사로 블로그 서비스도 함께 운영하는 회사이다, 그런 면에서 블로그 관리에 필요한 전반적인 것을 부족함 없이 지원하여 주고 있다.


한일 모두 전업 블로거는 어렵다

도쿠리키씨 : 미국의 애드센스 단가는 일본의 10배다, 또 유저수도 10배다 단순히 계산해도 100배의 차이다. 그런 면에서 미국에서 전업 블로거로 생계가 가능하지만, 현재의 일본 상황에서는 쉽지 않은 일이다.

오픈검색 : 한국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파워 블로그는 광고 수입 외에, 책을 쓰거나, 강연회, 컨설팅 등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대부분의 블로거는 현실상 어렵다.

오픈검색: 현재 AMN에 참가하는 블로거들의 수익은?

도쿠리키씨 : 트래픽에 따라 틀리지만, 애드센스 수익에 못 미치는 몇만 엔에서 몇십만 엔 정도이다.

오픈검색 : 한국도 그정도 수준일거라 생각된다, 한일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 같다.


거대포털의 독점은 웹2.0 기업 성장에 장애물?

오픈검색 : 한국 인터넷은 초창기의 앞선 인프라를 배경으로 선진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이 활발하게 나왔으나 현재는 정체기에 빠진 느낌이다. 특히 네이버의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도 한몫을 하고 있다.

도쿠리키씨 : 일본도 야후 재팬이 압도적이 점유율을 차지하며 한국과 비슷한 상황이다. 성장할 만한 기업은 인수하거나 똑같은 것을 만들어 싹을 죽인다.

오픈검색 : 그래도 일본은 다행이다, 시장규모도 크고 다양한 유저의 요구가 있어 생존할 수 있지 않은가?

도쿠리키씨 : 국내에 어느 정도 먹고 살만한 시장이 있기 때문에 거기에 안주하고 외국으로 진출하려는 의지도 약하지 않은가 생각된다.

도쿠리키씨 : 한국 인터넷 기업은 외국에서 성공하지 않았나? 씽크프리, 한게임, 오마이뉴스 등

오픈검색 : 씽크프리는 한국인이 경영하고 개발하고 있지만, 태생은 실리콘밸리이다. 한게임은 일본시장에서 성공하였지만, 그 외의 기업은 아직은 미지수다, 그리고 한게임도 모바일분야에서 모바게타운에 선수를 빼앗긴 것이 아쉽다.

도쿠리키씨 : 왜 한게임은 모바일 분야를 놓쳤을까???

오픈검색 : 글쎄? 모바게타운의 매출은 이미 한게임을 앞서지 않았나 싶다.

도쿠리키씨 : 모바게타운이 언제까지 승승장구할지는 알 수 없다, 현재 정부에서 청소년 보호를 위한 필터링 등을 통해 규제하려고 한다.


한일 인터넷 업체의 교류 가능성은?

오픈검색 : 한일 인터넷 벤처 기업의 자연스러운 교류는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도쿠리키씨 : 외국 기업과의 교류에 대한 관심을 높아지고 있다, 다만 미국과의 교류도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데 한국 기업에 관심을 두고 교류하고자 하는 업체가 있을지 잘 모르겠다.

오픈검색 : 현재로서는 서로 모르지만, 기회를 자주 얻는다면 관심도 높아지고 자연스럽게 교류를 할 수 있지 않을까? 공동 개발 합숙이든 아니면 서로의 사무실을 방문하여 일하는 교환 오피스등등..

도쿠리키씨 : 개발 합숙은 내 전공이 아니지만, 재미있을 듯하다.

도쿠리키씨 : 오픈웹아시아라는 회의가 한국에서 열린다고 하던데, 내가 아는 사람도 참석한다고 한다, 그런 것을 통해서도 교류할 수 있지 않을까?

오픈검색 : 물론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


마지막 마무리는 욘사마!

이야기를 마치고 나오면서

도쿠리키씨 : 욘사마의 인기는 여전히 대단하다! 다른 한국 배우들하고는 틀린 것 같다.

오픈검색 : 그래서 사마(위에 사람에게 붙이는 극존칭) 아니겠는가?

오픈검색 : 일본 가정의 경제권을 쥔 사람들을 팬들로 사로잡았으니 대단하다.

도쿠리키씨 : 욘사마는 한국에서도 인기인가? 주연으로 나올 정도이니!

오픈검색 : 일본만큼은 아니다, 일본에서의 높은 인기를 배경으로 일본에서의 일부 투자로 드라마가 제작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도쿠리키씨 : 오 그렇군 아무튼 대단한 욘사마다^^

이번 만남을 통해서 깊은 이야기는 나누지 못했지만, 첫 만남을 통해 서로 알고 있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던 자리가 되지 않았나생각된다.

한일 블로고스피어는 점차 커지고 영향력도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아직은 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기에는 앞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현재 상황에서는 전업 블로거로서 살아가기에는 쉽지 않고 앞으로도 험난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또 거대 포털이 독점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새로운 벤처가 성장하기에는 토양이 열악하고 구글이나 야후와 같은 글로벌 인터넷 기업의 등장이 양국 업계의 오랜 숙원으로 자리 잡고 있는 점도 확인할 수 있는 자리였다.

올해 주제 중 하나인 "일본 인터넷 업계 사람을 만나자!"의 실천으로 며칠 전 메일로 연락을 드렸는데 쾌히 승낙을 해 준 도쿠리키씨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대담 내용은 녹음을 못해 기억을 짜내며 적었다, 일부 빠진 내용은 나중에 떠오르면 추가할 예정이다.

AMN  http://agilemedia.jp/
도쿠리키씨 블로그  http://blog.tokuriki.com/



2008/05/30 - [일본 Hatena 이야기] - Hatena 다이어리 유명 블로거가 블로그 네트워크에 참여
2008/03/30 - [하테나 블로그 이야기] - 한일 블로그 네트워크에 대한 상념
2008/01/27 - [일본 인터넷 서비스 이야기] - 사쿠라 인터넷과 애자일 미디어 네트워크가 블로그랩을 개설
2007/10/10 - [일본 인터넷 서비스 이야기] - 보는 배너 광고에서 참가하고 만들어가는 배너 광고로
2007/05/25 - [한국 인터넷 이야기] - 태터앤미디어 그리고 한・미・일 3국의 블로그 네트웍 모델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