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대의 SNS(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mixi를 혼자서 기획하고 개발, mixi의 개발 책임자까지 맡았던 에토우 바타라(衛藤バタラ)씨가 기술로 인간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 독립, 새로운 플랫폼과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에토우씨는 자신의 이름을 딴 etolabo를 2008년 2월 설립, 업계에 기술로 정평이 나 있는 엔지니어를 중심으로 기술 집단을 구성, 첫 작품으로 분산 스토리지 시스템인 kumofs를 개발하였다.

kumofs는 속도 면에서 초고속을 자랑하며, 데이터를 여러 대의 서버에 3개씩 복제하여 분산 보존함으로써 서버에 장애가 발생하여도 데이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데이터가 갑자기 폭주하여도 간단하게 서버를 늘려나가는 방법으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etolabo는 앞으로 kumofs를 오픈소스로 공개할 예정이며, kumofs를 기반으로 한 사진공유 서비스인 Ficia를 현재 클로즈드 베타 서비스로 운영 중이다.


비공개 베타 서비스 중인  FICIA

Flickr를 시작으로 사진 공유 서비스가 흘러 넘치는 시대에 때늦은 감이 있는 Ficia의 등장이지만, 에토우씨는 CNET Japan과의 인터뷰에서 "애플이 mp3를 개발하거나 처음 시작한 것은 아니지만, 현재 아이팟이 mp3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우리도 애플과 같이 원래 있던 기술과 제품을 토대로 매력있는 서비스를 만들어 제공하고자 한다."라고 밝혔다.

한국의 1세대 인터넷 창업자들이 또 다른 신천지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새롭게 도전을 하듯이 일본의 인터넷 경영자들도 안정된 자리를 박차고 나와 새로운 세상에 도전장을 던지고 있다.

최근의 양상은 경험과 자금을 갖춘 초창기 인터넷 시대를 만들어 온 컴퓨터 세대와,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인터넷과 함께 성장한 인터넷 신세대와의 또 다른 경쟁이 시작되었지 않나 생각된다.


2009/06/02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일본 IT의 새로운 글로벌 시장 도전은 성공할까?

Posted by 오픈검색
,

촛불시위와 미네르바로 이제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해진 Daum 아고라, 이웃 나라 일본에도 아고라(アゴラ)는 존재하지만, 모습이나 내용에서 한국 아고라와는 다르다.


한국의 아고라가 게시판 형태로 누구나 익명으로 글을 올릴 수 있게 되어 있어 자유로운 토론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지만, 일본의 아고라는 블로그 형태로 실명의 전문가들이 참가한 팀블로그 형태의 오피니언 사이트이다.

일본 아고라는 올해 1월 26일 오픈하였으며, 블로그 시스템 등 사이트 관리는 라이브도어에서 담당하고, 참여 멤버 선정과 운영은 편집장으로 참여하는 블로고스피어의 유명 논객이자 경제학자인 이케다 노부오(池田信夫)교수가 맡고 있다.

현재 각계의 저명한 인물들이 필진으로 속속 참여를 하고 있으며, 아고라 운영 외에도 창업 세미나와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있는데, 강연자로 참여하는 면면(아이모드의 아버지로 불리는 나츠노 다케시씨, 라이브도어 창업자로 일세를 풍미한 호리에 다카후미씨)이 개성 있는 유명인이어서 뜨거운 호응을 받고 있다.

똑같은 이름으로 불리는 한일 양국의 아고라이지만, 인터넷이라는 열린 환경 속에서 누구나 자유로운 의견을 개진하고 토론하는 한국의 아고라와 익명 게시판의 악영향으로 인터넷상의 토론문화가 파멸 상태에 달하였다고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전문가에 의한 실명 토론의 장을 만든 일본의 아고라와는 많은 차이고 있다.


출처 flickr

2000년 전 그리스의 민의를 토론하던 아고라가 오랜 세월을 거쳐 한국과 일본의 인터넷상에 현대적인 모습으로 다시 등장하였다, 과연 그리스인들이 추구하던 아고라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고 그 정신을 이어가는 아고라는 어디일지....


2009/06/19 - [한국 인터넷 이야기] - 한일 대표 소프트웨어 기업의 비슷한 운명
2009/04/26 - [한국 인터넷 이야기] - 한일 인터넷 스타 "마시마로"와 "부드러운 전차"
2009/04/25 - [한국 인터넷 이야기] - 한일 인터넷 스타 "개죽이"와 "와사오"
2009/03/25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WBC, 그리고 한일(韓日)
2009/03/20 - [한국 인터넷 이야기] - 한일 인터넷 리더가 주목하는 아이폰 앱스토어 생태계
2009/02/10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한일 아이폰 전용 사이트 모음
2009/02/01 - [일본 검색 이야기] - 구글에 대항하여 등장한 한일 동영상 검색 서비스
2008/07/10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닮은꼴의 조선일보와 마이니치신문
2008/05/08 - [한국 인터넷 이야기] - 빌 게이츠 회장이 본 한일(韓日)
2008/04/01 - [하테나 블로그 이야기] - 한일 블로그 네트워크에 대한 상념
2008/03/27 - [일본 검색 이야기] - 한일 양국 명문 대학 출신자들이 만들어 가는 검색 서비스에서 한일 검색의 미래를 기대한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