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유명 블로거와 일본의 스타트업 기업이 만났다.

출처  米国ブロガーのみなさんにはてなを紹介してきました.
        미국 블로거 여러분에게 Hatena를 소개하고 왔습니다.

이번 만남을 주선 한 다카스카 도오루(高須賀宣)씨는 일본 그룹웨어 시장에서 1위를 달리는 Cybozu의 창립자로, 일본 소프트업계의 오랜 숙원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안정된 자리인 Cybozu를 그만두고 혈혈단신으로 미국에 뛰어들어 웹상에서 문서를 작성하고 공동 작업을 할 수 있는 협업 서비스를 만드는 LUNARR를 설립한 것으로 유명한 인물이다.

모임에 참가한 미국의 블로거는 Silicon Valley Watcher의 Tom Foremski씨, ReadWriteWeb의 Marshall Kirkpatrick씨, Mashable의 Kristen Nicole씨, 47 Hats의 Bob Walsh씨 등 4명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모임 전경 ( 출처 여기 )


스타트업 기업으로 Hatena를 비롯해, Ubiquitous Entertainment, Utagoe, SARGASSO, Cybozu Labs이 참가, 15분씩 발표하였다.

성공한 벤처 기업가가 안정되고 평안한 자리를 박차고 나가 미국이라는 전혀 생소한 터전에서 분투하면서 어렵게 닦은 인맥으로, 이제 막 시작한 스타트업 기업을 도우려 하는 모습은 무척이나 흐뭇한 광경이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도 성공한 인터넷 벤처 기업가 중에서 후배 기업의 지원 사업은 물론 스스로 세계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서비스 개발에 전념하는 기업가가 나오고 있어 앞으로의 한일 인터넷 산업이 어둡지만은 않은 것 같다.

한편, 이번 모임 소식을 전한 Hatena의 부사장 가와사키씨의 글에 대한 Hatena 유저의 평가는 최악이다. 이유는 1년간 미국 시장에 진출하여 활동하면서 Hatena를 미국의 블로거에게 널리 알리지 못하고 돌아와, 미국 시장에 한 번도 얼굴을 내밀 기회를 얻지 못했던 다른 일본의 스타트업 기업들과 한자리 서서 일본까지 초청된 미국 블로거들에게 자사를 알리는 것을 한심하지 않은가 하는 비난이다.

후회하며 아무것도 행동으로 옮기지 않는 것보다 온 힘을 다해 결과를 만들어 내는 게 낫다는 의견도 보여, 유저의 Hatena에 대한 애정을 함께 느낄 수 있다.

Posted by 오픈검색
,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이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과 접속할 수 있는 시대가 활짝 열렸다.

인터넷의 탄생과 함께 무한한 정보와 연결되었고, 블로그라는 편리한 도구를 통해서 세상을 향해 정보를 발신할 수 있게 된 우리는 이제는 자신의 모든 생활 정보를 웹상에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현실 세상의 모든 움직임을 저장하는 라이프로그는 지금까지는 쉽지 않았지만, 이번 goo의 새로운 서비스 KISEKI를 통해서 자동으로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KISEKI는 휴대전화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한 장소와 시간을 자동으로 기록, 저장된 데이터에 추가적으로 적고 싶은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KISEKI를 이용하려면 휴대폰 정보 사이트인 machi() goo에서 KISEKI의 i-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휴대폰의 대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설정하면, 언제 어디에 갔는지 자동으로 기록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을 찍어 올릴 수도 있고 지도 서비스와 연동되어 위치 확인도 가능


휴대폰을 통해 자동으로 기록된 정보에 무엇을 하였는지 적어 하루의 생활 정보를 시간대별 장소별로 전부 작성할 수 있고, PC로 goo lab에 접속하여 일기를 읽고, 편집은 물론 외부 블로그로 송신할 수 있다.

KISEKI를 사용하려면 GPS기능이 내장된 휴대폰이 필요하면 현재까지는 도쿄도와 가나가와(神奈川)현, 치바(千葉)현, 사이타마(埼玉)현에 한해서만 사용할 수 있다.

KISEKI(軌跡)는 한국말로 궤적을 뜻한다, 우리의 일상생활의 궤적을 모두 기록하는 편리한 서비스가 될 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인 행동이 모두 기록됨으로써 사생활 침해에 대한 문제는 물론 예기치 않은 곳에서 악용될 수 있는 위험성도 충분히 생각해 볼 문제라고 여겨진다.

KISEKI가 기업용 서비스로 제공되기 시작하면, 영업사원들은 업무 시간에 사우나에 가서 마음 놓고 쉴 수도 없을 것 같다.

유사 서비스로 KDDI가 실험적으로 서비스 중인 "휴대폰으로 라이프로그"가 있다.



2008/05/20 - [일본 검색 이야기] - 구(goo), 일본 지식iN의 열린검색 오픈
2008/03/20 - [일본 모바일 서비스 이야기] - 위치 정보와 연동한 모바일 광고 "AdLocal"
2007/09/24 - [일본 검색 이야기] - 환경을 생각하는 검색 “녹색 goo”
2007/09/12 - [일본 검색 이야기] - 육하원칙(5W1H)으로 검색
2007/09/08 - [일본 인터넷 서비스 이야기] - 택시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실험을 시작한 포털사이트 goo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