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시장이 초기 제1차 대전에서는 1,500만 회원을 자랑하는 믹시(mixi)의 완승으로 끝난 가운데, 제2차 대전으로 진입하면서, 일본의 SNS 시장에서 누가 최종 승자로 남을지 관심이 쏠린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일본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장은 라쿠텐에서 개발자로 근무하던 다나카(田中)씨가 개인적으로 개발하고 운영한 그리(GREE)가 2004년 처음으로 시작을 하였지만, 이후 mixi가 후발주자로서 시장에 뛰어들어 급속하게 유저를 늘려가며 타사 서비스를 뿌리치고 독주태세로 들어서며 영원한 일인자로 굳힐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이후 mixi 내부적으로 이용자의 피로감이 누적되면서 성장이 정체되고, 모바일 SNS 시장에서 모바게타운이 오픈 2년 만에 1,000만 명의 유저를 확보하는, 대성공을 기록하면서 mixi의 위기감을 증가시켰다.

한때 mixi와의 격차가 벌어져 주목을 받지 못하던 일본 SNS 원조 GREE는 일본 2위의 이동통신사 KDDI와 손을 잡고 모바일 SNS에 힘을 쏟으면서 유저수를 착실하게 늘려 400만 명 확보에 성공, 모바게타운은 물론 mixi와도 충분히 경쟁할 수 있는 고지를 확보했다고 보인다.

일본 자국 내 SNS 업체들의 치열한 경쟁을 지켜보면서 일본 인터넷 시장의 가치를 중시한 외국계 SNS 업체들의 일본 시장 진출도 끓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다.

한국 시장에서의 성공 모델을 축으로 일본에서의 성공을 꿈꾸며 진출한 한국 인터넷 대표 싸이월드 재팬은 제대로 꽃을 피우기도 전에 스스로의 한계를 보이며 한류 포털로써 입지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한편, 미국발 글로벌 넘버1 SNS 업체인 마이스페이스(MySpace)는 최대 경쟁사인 페이스북의 일본어 서비스 발표(19일)에 대응, 20일 일본의 유명 음악 제작사와 프로덕션, 그리고 영화 제작사와 배급사,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와 출판사 등과 폭넓게 제휴, 일본의 뮤지션이 세계 시장에 진출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며 대대적인 일본 시장 공략을 선언하였다.

그리고 가장 늦게 일본 시장에 진출한 페이스북(Facebook)은 개발자들에게 널리 개방된 오픈 플랫폼 정책과 실명제 SNS로서의 장점을 살려 기반을 다져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제2차 대전은 유무선 SNS 시장에서 안정적인 기반을 구축한 일본 SNS업체에 대항하여, 세계적인 SNS 업체들이 자신들만의 강점을 무기로 일본의 SNS 시장을 공략하는 구도로 보인다.

지켜낼 것인가, 뚫을 것인가, 어느 한 쪽이 굴복하고 물러나기 전까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제2차 대전은 끝나지 않을 것이다.


2008/05/19 - [일본 인터넷 기업 이야기] - 페이스북(Facebook), 일본 시장 본격 상륙
2008/05/14 - [일본 한국 관련 이야기] - 일본 싸이월드, 한류로 승부
2008/05/01 - [일본 인터넷 기업 이야기] - 소프트뱅크, 중국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장 진출
2008/04/11 - [일본 모바일 서비스 이야기] - 모바일 종합 포털 사이트 모바게타운 회원 수 1,000만 명 돌파
2007/02/19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mixi 對 MySpace
2007/01/19 - [일본 모바일 서비스 이야기] - 모바일 SNS 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의 불이 붙었다.
2006/11/23 - [일본 인터넷 기업 이야기] - 일본의 믹시(mixi)가 성장 둔화
2006/07/22 - [일본 인터넷 서비스 이야기] - mixi 피로 해결책

Posted by 오픈검색
,

일본 NTT RESONAT가 운영하는 포털 사이트 구(goo)는 Q&A(지식인)서비스 열린검색 서비스를 오픈한다고 발표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번에 오픈 된 열린검색 서비스 오시에테(教えて!) goo는 자사가 서비스 중인 Q&A 서비스는 물론 야후! Chiebukuro(知恵袋), Hatena 인력검색(人力検索) 등 타사가 서비스 중인 Q&A 서비스에 올라온 질문과 답변도 함께 검색하여 보여주는 서비스이다.

인터넷 조사 회사 닐슨 넷레이팅가 3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일본의 Q&A 서비스는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고 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Yahoo! 지혜주머니는 이용자가 1,261만 명으로 전년도의 465만 명과 비교하면 2.7배 증가, 페이지뷰도 2배 정도 늘어 야후 재팬의 서비스 중에서 가장 성장률이 높았다, 한편, 일본의 포털 중에서 Q&A 서비스를 가장 먼저 시작한 goo는 전년도 505만 명에서 781만 명으로 증가하였다.

Q&A 서비스 이용률에서는 미국 야후의 Yahoo! Answer이 9.4%의 이용률을 보였지만, 야후 재팬의 Yahoo! 知恵袋의 이용률은 25.7%에 달해 일본인들이 Q&A 서비스를 얼마만큼 애용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이번 goo의 열린검색 서비스의 의미는 자사 서비스만을 고집하지 않고 웹상에 널려 있는 수많은 정보 중에서 유저가 원하는 정보를 가장 빨리 그리고 정확하게 전하겠다는 유저 중심의 서비스 정신에서 나온 것이 아닌가 싶다.

제2차 일본 검색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인 네이버의 주력 상품 "지식인(知識人)"이 일본 업체들에 의해서 완전 잠식 중인 것은 안타깝다.

과거 네이버 재팬에서 운영하였던 지식인 서비스는 현재 한게임 재팬에서 지식 plus로 서비스 중이다.




2008/03/13 - [일본 인터넷 이야기] - 마이크로소프트가 처음으로 투자한 일본 인터넷 기업은?
2008/03/07 - [일본 인터넷 서비스 이야기] - OKWave, Q&A 콘텐츠와 연동하는 키워드 광고 시작
2007/02/24 - [일본 검색 이야기] - 일본에서 Q&A 서비스가 급성장중
2007/01/24 - [일본 검색 이야기] - 일본의 Q&A 서비스


Posted by 오픈검색
,

 
moonstake